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금융사,위험관리 집중해야/심균흠 예금보험공사 이사

장승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6.05.07 14:46

수정 2014.11.06 06:24



최근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6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에 의하면 1·4분기 GDP는 전분기 대비 1.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4분기의 0.5% 증가 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나 민간소비와 수출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정부가 당초 목표로 한 5%대의 성장률 달성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기의 불안 요인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올 들어 상품수출과 민간소비는 그런대로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원화 강세와 고유가가 지속되고 있고 이로 인한 교역조건 악화로 지난 1·4분기에 국내총소득(GDI)도 지난해 4·4분기보다 다소 감소했다. 지방선거를 둘러싼 정치적 불안정과 노사관계의 불안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이처럼 경기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은행들은 지난해에 사상 최대의 이익을 실현했고 올해 1·4분기에도 지난해 동기보다 실적이 호전됐다.
이는 큰 폭의 대출 확대에 따른 이자 수익 증가와 경기 회복에 따른 자산건전성 개선으로 인해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감소한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경기가 다시 침체될 경우에 이러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올 1·4분기의 양호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총자산이 지난해 동기대비 크게 늘어난 일부 은행들의 경우 순이자 마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가 다시 침체될 경우 대출의 부실화로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신규 대출이 부실 여신으로 분류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출이 늘어날 경우 단기적으로는 자산건전성이 개선되면 이자수익도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경기가 침체되기 시작하면 부실 대출이 늘어나게 돼 대손충당금 적립부담이 가중됨으로써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된다. 특히 저성장기에 과도한 대출 확대를 추진할 경우에는 과당 경쟁으로 인한 과도한 대출금리 인하나 대출기준 완화 등으로 인해 순이자 마진이 크게 줄어들고 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금융회사들이 경기 변동과 상관없이 안정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기 성과에 치중하기 보다는 종합적인 리스크관리 능력을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한 배전의 노력이 요구된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회사들은 리스크관리를 경영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며 위험관리 능력의 확충을 위해 전산시스템 등 하부구조를 구축하고 조직체계를 정비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기울여 왔다. 위기 이전과 비교해 여신정책과 여신심사, 각종 리스크의 측정과 모니터링 등 많은 부문에서 진전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난 2000년대 초반에 경험한 카드대출 등 가계 대출의 부실에서 보듯 무리한 대출 확대와 과당 경쟁이 이뤄질 경우 경기가 위축되면 대출이 대규모 부실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원칙과 기준에 따라 대출이 이루어지고 특정 산업이나 부문에 대출이 집중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정교한 리스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내부의 관리 한도를 벗어난 위험에 대해서는 파생금융 상품을 이용해 신용 위험을 헤징하거나 적극적으로 전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경기의 움직임을 감안한 신용관리를 통해 경기가 나빠지면 여신을 축소하는 근시안적인 여신 정책에서 벗어나 차주의 미래 채무상환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대출함으로써 금융회사와 거래고객이 상생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성과를 이룰 경우 여신의 경기 순응성은 줄어들게 되고 자연스럽게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도 높아질 것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