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고용 창출의 해법 ‘사회적 기업’ /이채필 고용노동부 차관

김성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7.18 18:22

수정 2010.07.18 18:22

“빵을 팔기 위해 직원을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을 고용하기 위해 빵을 파는 기업.”

2012년까지 서울형 사회적기업 150개소 육성, 2012년까지 충남형 사회적기업 100개소 육성, 2014년까지 경북형 사회적기업 100개소 육성….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육성 의지가 뜨겁다. 지자체뿐만 아니다. 행정안전부는 자립형 지역공동체를 집중 육성해 2011년까지 232개 지역 풀뿌리형 사회적기업 육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015년까지 농어촌 공동체 회사 3000개소를 육성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적기업으로 적극 유도하겠다고 한다. 지자체와 정부 부처들이 이렇게 사회적기업에 뜨거운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사회적기업이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의 해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은 어려운 이웃을 비롯해 창의적인 청년, 경험 있는 은퇴자 등에게 보람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우리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따뜻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수익을 사회에 재투자하는 기업인 동시에 국민과 기업은 사회적기업을 통해 각자가 가진 전문성·재원·기술 지원 등을 함께 공유하고 나눌 수 있어 더 큰 의미가 있다.

사회적기업은 우리 고유의 공동체 정서와 매우 닮았다. 향약, 두레처럼 이웃이 서로 손을 모아 어려운 일을 해결해 나갔던 그 전통이 사회적기업의 뿌리라고 생각한다. 공동체 문화가 사라져가고 있는 요즘 사회적기업은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이웃과 함께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다.

지난 2007년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부산의 ‘안심생활’은 지역주민 100여명을 고용해 지난해 주민 12만여명에게 가사간병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곳에 근무하는 한 요양보호사는 “옆 동네 할머니를 돌봐드리다 보니 이제는 딸처럼 가까워졌다”고 한다. 대구에서 택시운수업 및 장갑 제조업을 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화진테크화진택시’는 장애인 35명이 택시를 몰고 있다. 이 기업은 교통사고를 거의 내지 않아 다른 택시회사보다 자동차 보험료를 월평균 1000여만원 적게 낸다.

급식 및 외식사업을 하고 있는 전북의 사회적기업 ‘나눔푸드’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무농약 농산물만을 사용한다. 수익성에서 어려움을 겪더라도 지역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먼저 이익이 돌아가게 한다는 것이 기업의 목표다.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은 현재 319개로 장애인·고령자 등 취약계층 6000여명을 포함, 1만1177명이 고용됐고 2만여명의 취약계층에 가사·간병 등의 사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2007년 매출액 10억원당 유급 근로자 수는 57.1명으로 2007년 전체 산업의 평균 고용 계수가 5.8명인데 비하면 고용창출력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고용창출력에 비춰볼 때 일자리 창출 해법으로서 사회적기업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고용노동부는 사회적기업의 육성·발굴을 통해 보다 많은 국민이 보람 있는 일자리에서 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사회적기업이 시장에서 경쟁·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것이다. 또한 지자체가 사회적기업 육성에 적극 나서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며 사회적기업에 대해 중소기업에 준하는 수준의 금융·구매 등 정책 혜택도 제공할 예정이다.

브로드웨이 출신 명배우이자 사회적기업 ‘뉴먼스 오운(Newman’s Own)’을 창립한 폴 뉴먼은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 적잖이 모은 재산으로 나름대로 특권을 누려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처럼 특권을 가진 우리가 고통받는 이들에게 이제껏 누려보지 못한 즐거운 경험을 제공한다면 큰 보람을 느낄 것이다”라고 했다.

사회적기업은 혜택을 받는 사람뿐 아니라 참여하는 사람에게도 감동을 전하고, 또 그 감동으로 더 많은 사람의 동참을 이끌어내게 하는 힘이 있다.
사회적기업이 든든한 고용안전망이 되도록 사회 전체가 따뜻한 관심과 격려를 보내야 할 때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