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특별기고] “부산항 고부가 화물로 승부해야,동남아 등 해상네트워크도 필요”

김기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5.14 16:29

수정 2013.05.14 16:29

[특별기고] “부산항 고부가 화물로 승부해야,동남아 등 해상네트워크도 필요”

부산항이 2012년에도 세계 5위 컨테이너항만의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부산항의 2012년 컨테이너물동량 실적은 1702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6위 닝보의 1683만TEU에 비해 불과 19만TEU를 앞선 것으로 올해엔 닝보항에 세계 5위 컨테이너항만의 지위를 내줄 가능성이 높다.

2000년대 초 세계 3위 컨테이너항만 위상이었지만 중국항만의 추격으로 그 지위가 계속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그 뒤로도 광저우항, 칭다오항이 부산항을 쫓고 있다.

그렇다면 부산항은 계속 추락할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동북아로 향하는 세계경제권력은 부산항의 컨테이너항만의 위상을 유지시켜 줄 것이다.


앞으로 부산항은 어떻게 될 것인가. 부산항은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부산항이 더 높은 순위의 컨테이너항만의 위상을 차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까. 굳이 그럴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부산항 위에는 상하이, 싱가포르, 홍콩, 선전 등 중국의 항만이 차지하고 있다. 이제는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를 다른 방향에서 찾아야 한다.

항만의 기능은 화물처리를 근본으로 하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여가의 장, 문화향유의 장, 생활의 장으로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주로 경제수준이 높은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아무래도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해양레저나 관광문화를 향유하는 계층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부산항의 경쟁력도 기존 컨테이너항만의 위상에 더해 새로운 삶의 장을 제공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부두를 건설하고 관리하고 운영하는 방향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컨테이너화물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수출입 무역국가이며 이 경제구조는 바뀌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기본적인 수출입컨테이너물동량 이외에 환적화물을 더 많이 유치해야 한다. 2009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연구에 따르면 부산항의 1TEU당 환적화물의 부가가치는 6만3000원 정도다. 이는 수출입화물의 82% 수준이다. 하지만 환적화물은 특성상 수출입화물의 2배 효과가 나타나므로 유치 효과는 더 크다.

둘째, 동남아시아 및 서남아시아 등 저개발국가의 경제성장을 감안할 때 이들 국가로 연계되는 해상네트워크 확대가 필요하다.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저개발국가의 경제성장이 눈부시게 나타나고 있어 장래에는 이들 국가와 교역이 증가하면서 수출입물동량과 함께 환적화물도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공정한 사용료의 징수와 핵심 항만서비스의 제고가 필요하다. 박리다매 방식의 물동량유치는 운영사의 운영여건을 어렵게 하고 국부가 유출되는 부작용을 낳는다. 또 눈에 보이지 않는 경비절감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항만서비스를 향상시켜야 한다. 무료장치기간 확보는 물론 선사들이 지불하는 무형의 비용을 파악해 서비스와 연계해야 한다.

넷째, 북항과 신항의 새로운 기능재정립이 필요하다. 북항은 역사와 문화가 있는 향기로운 항만으로 만들어야 한다. 개항 이후 140여년이 된 북항을 미항으로 탈바꿈시켜 항만재개발사업과 연계해 새로운 문화창조의 공간으로 재탄생시켜야 한다. 신항은 컨테이너화물 중심처리항만으로 그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법과 제도를 고치고 새로운 부산항 경제발전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컨테이너 이외의 해양산업을 유치해 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부두를 제공해야 한다. 해양 및 육상 플랜트 건조, 수출을 위한 부두를 제공하고, 해양관련산업이 배후에 입지해 집약적으로 기업활동을 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2030년 이후에는 부산항 항계확장의 한계를 감안해 부산에서 광양항을 아우르는 광역 부산.광양항만 권역을 조성해야 한다. 화물처리부두를 광양항, 마산항과 공동으로 활용하고 해양플랜트 산업을 옥계항을 비롯해 조선소가 입지한 무역항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산항! 어디로 갈 것인지 국토전반적인 관점에서, 포괄적 광역항만권역 차원에서 심각하게 고민하고 인근 항만과도 상생의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는 공생번영의 항만개발 및 관리운영 모델을 찾아야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