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특별기고] 투자형 협력네트워크 필요

유현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12.05 16:40

수정 2014.10.31 12:04

[특별기고] 투자형 협력네트워크 필요

최근 한 중소기업인이 자사의 기술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기술개발 기획부터 자금 유치 현황, 그리고 기술개발 후 매출이 발생한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자리였다. 그런데 한창 발표를 하던 그의 목소리가 잠기기 시작했다. 급기야 눈시울이 붉어진 그는 "중소기업을 하며 이런 도움을 받을 줄 몰랐다"며 감격했다. 그가 운영하는 중소기업의 연간 매출은 50억원 정도. 몇 년간 성장을 멈춘 '장그래형' 중소기업이었다. 그럼에도 항상 기술개발에 매진한 결과 지난해 한 발전사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이후 기술개발과정에서 해당 발전사로부터 기술코칭도 받고 기술개발이 완료된 후 상용화된 제품을 해당 발전사에 납품했다.

보통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기업의 책무는 납품을 받는 선에서 끝난다. 하지만 발전사는 중소기업이 개발한 제품이 해외로 수출될 수 있도록 전시관을 만들어 바이어에게 소개하는 역할도 했다. 결국 중소기업이 발전사에 납품한 경력은 추천서로 작용했고 해당 제품은 해외로 수출되는 결과를 낳았다. 중소기업은 시나브로 매출 100억원이 넘는 성장기업으로 발돋움했다. 하지만 사례를 발표하는 중소기업인은 "이제 시작"이라고 말했다. 발전사가 자사의 제품을 장착해 준 것을 경력증명서로 활용한 결과 다량의 계약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설명을 듣는 동안 조금만 발상을 전환하면 기업과 기업이 동반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 사례와 같은 협력적 네트워크는 서로에게 든든한 버팀목으로 작용하며 성장의 기폭제가 되기 때문이다.

애플사, HP 등 많은 글로벌기업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성장동력을 수혈받고 있다. 기술의 융복합시대에 맞는 경영전략으로 수평적 협업체계를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 기업들도 다양한 협업체계를 형성해 신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

정부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중소기업 성장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이다. 본 사업은 정부와 투자기업(대기업과 공기업) 40여곳이 1대 1 매칭 형태로 펀드를 조성해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을 통해 운영하고 있다. 현재 펀드 규모는 5000억원. 과제당 10억원 내에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있다. 또 개발된 제품은 투자기업이 일정 양을 구매하도록 해 중소기업의 매출을 돕고 있다. 앞서 사례를 발표한 중소기업도 본 펀드를 통해 투자를 받았다.

본 펀드의 장점은 '투자'라는 데 있다. 대기업이나 공기업은 투자를 했기 때문에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라도 중소기업이 기술개발에 성공하도록 관심을 기울이고 개발이 종료돼 상용화된 제품은 자사의 이름으로 시장에 내다팔아 이익을 창출하려는 속성이 있다. 즉, 투자를 통해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개발해 이익창출의 동력으로 삼는 것이다. 든든한 지원자를 만난 중소기업은 대기업이나 공기업으로부터 투자를 받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기술개발에 성공할 수 있고 판매처도 확보돼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셈이다.


사례를 발표한 중소기업인도 "단순 지원이 아닌 투자, 시장을 염두에 둔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재단이 본 사업을 통해 연간 투자하는 과제 수는 대략 300개. 350만 중소기업 수를 헤아리면 아직 부족하다.
향후 선순환 투자구조, 동반성장형 기술개발이 담보되는 본 사업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해 본다.

오완진 대중소기업협력재단 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