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월드리포트

[여의나루] 수산 빅데이터 시대를 열자

박경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2.20 16:26

수정 2014.10.29 15:32

[여의나루] 수산 빅데이터 시대를 열자

지금으로부터 45년 전 우주인 암스트롱이 달에 첫발을 내디딘 TV 화면이 기억에 새롭다. 바로 과학적 데이터의 축적이 인류를 달에 갈 수 있게 했다.

현 정부 들어 정책 수립, 대국민서비스, 사회 현안 대응 등 국정운영 전반에 빅데이터 활용이 본격화되고 공공과 민간이 자유롭게 수집·분석·공유할 수 있는 정보 개방과 공유에 의한 소통 협력에 방점을 찍고 있다. 우리 수산분야도 신성장동력 창출, 안전한 먹거리 공급, 적조 피해, 불법 조업, 기름 유출, 해양오염과 같은 현안에 대해 빅데이터에 기초한 과학적 정책 수립과 맞춤형 서비스로의 획기적 전환이 필요한 때가 됐다.

빅데이터란 1000페타(Peta) 바이트 이상의 거대한 자료 집합을 말한다. 요즘 성능 좋은 PC 1000대에 저장한 데이터 양이 된다.
정형화된 자료 이외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문자와 동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모두 포함한다. 더욱이 수집되는 데이터 양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르며 데이터 간의 복잡도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례로 수산에 관한 전형적인 관측 정보 이외에 위성 데이터와 기상정보의 사용으로 누적되는 데이터 양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정부는 의료건강, 과학기술, 정보보안, 제조, 소비거래, 교통물류 등을 빅데이터 6대 유망 산업 분야로 선정했다. 수산분야도 정부3.0과 이에 따른 공공정보의 개방 및 공유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기에 매우 우수한 빅데이터 자산을 많이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갈수록 기승을 부리는 중국 어선의 불법어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단속 정보와 어획량 이력 데이터의 분석으로 불법어로 지역과 시기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다. 주요 어로 지역별·어종별·시기별 어획량을 예측하고 불법어로 예측 정보를 토대로 해경과 어업관리단을 중국 어선의 주요 출몰 지역에 선제적으로 투입해 불법 조업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한편 어촌의 유동인구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자체는 데이터 기반의 어촌 관광 자원화 정책을 시행한다면 어촌 지역의 경기도 활성화되고 어민들의 소득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앞으로 수산업이 잡아서 파는 시대에서 국민 개개인이 체험하고 즐기는 맞춤형 어촌 서비스 시대로 탈바꿈하는 데에 수산 빅데이터 분석이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덧붙여 빅데이터 분석은 전남 여수와 부산의 기름 유출, 일본의 방사능 유출과 같은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다. 유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해양정보·유통정보·검사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사고에 영향 받는 수산물 생산 및 유통 지역을 분석하여 안전지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면 국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먹을 수 있고 피해지역에는 정당한 보상이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전 국민이 원하는 '안전하고 신선한 수산물' 공급을 위해서는 산지로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유통경로 상의 거래 이력 정보가 수집 제공되고 어떤 온·습도에서 보관됐다가 판매되는지에 대한 보관 이력 정보를 정확히 수집해서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수산물의 보관 및 거래 이력정보, 해양수산 환경 정보를 국민에게 적기에 개방하고 공유해야 하는 수산 공공정보로 관리하는 수산 빅데이터 활용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 경제적 효과 분석과 수산 빅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창의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수산의 내일은 밝다. 6차 산업으로서 전후방 연관 효과가 제대로 발현돼야 하며 그 징검다리가 바로 빅데이터다.
수산의 미래 산업화는 빅데이터 기반이 탄탄히 구축될 때 우리에게 한층 가깝게 다가올 것이다.

김성진 전 한경대학교 총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