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특별기고] 국가적 재난 장기 심리치유 이뤄져야

홍석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4.27 17:13

수정 2014.10.28 03:22

[특별기고] 국가적 재난 장기 심리치유 이뤄져야

세월호 침몰사고로 수많은 실종자와 사상자가 발생해 국민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방송에 눈을 떼지 못하고 한 분이라도 구조됐으면 하는 것이 공통된 심경일 것이다.

이러한 사상 초유의 재난으로 인한 심각한 정신적 외상은 여러 언론에 보도됐듯이 생존자와 실종자 가족, 교사는 물론이거니와 이들을 지원하는 자원봉사자와 전문인력을 넘어서 국민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여러 건의 대형 재난사고와 이후에 나타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이후로도 오랜 기간 피해자와 가족들의 삶을 힘들게 했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은 외상사건 초기부터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처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조기에 학교와 유가족, 실종자 등 전체 구성원을 위한 포괄적 치유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성되고 장기적으로 제공돼야 한다.


현재 생존자들은 고려대 안산병원에 입원해 신체적 치료와 함께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초기부터 동시에 진행하고 있고 단원고에는 소아청소년전문의가 상주하면서 학생들과 교사들을 돕고 있다. 정부 부처와 관련 단체들이 초기부터 대책회의를 함께 했고 경기광역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을 구성해 안산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적극적인 협조 하에 긴급 심리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유가족에 대해서는 향후 국립정신건강연구원으로 발전할 국립서울병원이 의료진을 파견해 지원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1일 세월호 사고 관련 심리지원 대책안을 발표해 중기·장기까지 포함한 지원의 원칙을 제시했다.

200명 이상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비롯해 심리학자,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등 각 지역의 정신건강전문가 1000명 이상이 지역사회로 들어가 자원봉사를 하기로 결의하고 지원을 시작했다.

이전의 어떤 재난보다 체계적으로 많은 전문가가 투입되고 있지만 이러한 위기상황에서의 긴급 심리지원은 사실 전문가들에게도 쉬운 일은 아니다.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자신의 업무를 중단하고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장기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선진국과 같은 생존자와 피해자들을 3년 이상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도화돼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복지부가 발표한 중장기 대책안도 신속히 실행돼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고통스러운 사건의 결과가 우리 사회의 성숙과 발전에 기여하려면 안전과 회복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 재난 후 심리지원과 치유의 과정은 그중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목표일 것이다. 우리는 매우 짧은 시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룬 저력을 발휘해 이제는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한 현대적이고 선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아픔을 다시 반복해서는 안 된다. 이제라도 국가 재난 상황에서 책임 있고 준비된 전문가들이 사건 초기부터 피해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타워가 존재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지금 시작돼야 하며 차가운 바닷속에서 한 생명이라도 살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는 구조 인력과 같은 마음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혜를 모아 할 윤리적 의무가 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