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제1회 대한민국 문화콘텐츠포럼] “클러스터 전략으로 업종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이승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6.10 17:48

수정 2014.06.10 17:48

[제1회 대한민국 문화콘텐츠포럼] “클러스터 전략으로 업종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클러스터 조성, 열린 제작시스템, 플랫폼 트렌드 선점, 콘텐츠 코리아랩 확산·발전.'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해 전문가들이 꼽은 핵심 전략이다. 생산·유통 과정의 선택과 집중 그리고 협업을 통해 공연, 방송, 게임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창조경제의 키워드 가운데 하나인 문화콘텐츠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규제개혁 등 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선택과 집중, 문화콘텐츠 거점 인프라 구축

파이낸셜뉴스가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주최한 제1회 대한민국 문화콘텐츠포럼의 두 번째 세션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창조경제, 문화콘텐츠에서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산업 현황 및 발전 전략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우선 전문가들은 '집약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클러스터 전략을 강조했다.

공연, 방송,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의 생산에 필요한 시스템 인프라를 특정 지역에 구축해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송승환 PMC 프로덕션 회장은 "우리 공연 콘텐츠 부문은 너무 흩어져 있어 손실이 많기 때문에 클러스터 전략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며 "예컨대 대학로를 중심으로 한 창작뮤지컬 생산 클러스터를 조성할 경우 시너지 효과는 물론 대학로가 문화콘텐츠 시장의 세계적인 명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상민 성신여대 문화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도 "경기도 판교의 경우 게임을 중심으로 실리콘밸리를 연상시킬 정도로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있다"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대한민국 문화콘텐츠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근거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적 협업 제작과 뉴플랫폼 공략

글로벌 문화콘텐츠 시장에 대한 공략방안도 제시됐다. 구체적으로 방송 콘텐츠의 경우 문화적 동질성이 높은 동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한 협업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송병준 그룹에이트 대표는 "방송의 경우 중국이나 동아시아권과 국제 공동제작, 협업을 하는 열린 제작시스템을 빨리 구축해야 한다"며 "특히 중국과의 공동제작을 기반으로 세계시장에서 한류를 지속·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콘텐츠 수요자 입장에서 성장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스마트폰 시대에 적합한 문화콘텐츠를 생산·유통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모바일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플랫폼 트렌드를 선점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생산·유통시켜야 한다는 얘기다.

송 대표는 "시장 확대를 떠나서 콘텐츠 소비행위 자체가 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플랫폼 차원에서 TV와 함께 모바일, 인터넷으로 빨리 이동하는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공략해야 하기 위해 모바일 디지털에 강한 게임, 웹툰 등과 협업해서 새로운 방송콘텐츠 스타일 등과 같은 스마트 콘텐츠를 창조하는 데 진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대학로에 첫 번째 문을 연 '콘텐츠코리아랩(CKL)'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됐다. 콘텐츠 창작과 창업을 지원하는 기구인 콘텐츠코리아랩을 더욱 많은 지역에 구축, 참신하고 다양한 문화콘텐츠 생산의 동력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보근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장은 "콘텐츠코리아랩이 거점 인프라로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즉 생산과 소비·유통·이용을 모두 겨냥하는 핵심 전략이 될 것"이라며 "창조적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전파하는 발신지를 확고하게 만드는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화부 예산 확충 등 정부 제도적 지원 필요

전문가들은 문화콘텐츠산업이 미래 국가경제의 주요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문화콘텐츠의 생산·유통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뒷받침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송 대표는 "해외시장에 진출할 경우 민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봉착하는 경우가 많다"며 "문화콘텐츠의 해외 생산과 유통을 위해서는 현지시장에 대한 사전조사, 법률적 검토 등과 같은 분야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침체기에 빠진 창작뮤지컬 등 문화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구체적으로는 순수 문화예술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송 회장은 "순수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많이 부족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며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 배정된 예산은 전체 정부 예산의 1.2%이고 실제 문화예술 쪽에 지원되는 예산은 1%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문화콘텐츠산업 발전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규제 개선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선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제도 개선에 집중할 방침이다.

최 과장은 "현재 가장 큰 고민은 시장 규모를 키우는 것인데 그 방법으로 내수와 수출 두 가지 방법을 꼽을 수 있다"며 "글로벌 시장 진출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중에서 중국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