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上) 대학·연구소 첨단 장비를 내 것처럼

최영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11.25 17:26

수정 2014.11.26 14:15

전국 1만여대 연구장비, 中企 R&D 인큐베이터로 활용
서울대 등 164개 기관 내 국가 연구장비 활용 가능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上) 대학·연구소 첨단 장비를 내 것처럼


중소기업에 있어 독창적인 기술력은 막대한 자본을 가진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무엇보다 중요한 무기다. 하지만 상당수의 중소기업들은 자금부족, 연구설비 및 기자재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시 필요한 장비를 100% 보유한 기업은 8.9%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청의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통해 1만개 이상의 중소기업들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최첨단 장비를 내 것처럼 활용해 엄청난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자금 및 정보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상당하다. 이에 파이낸셜뉴스는 3회에 걸쳐 중기청의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 사업에 대한 소개와 활용 방법 및 이 사업을 통해 성공을 거둔 회사들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지난 12일 대전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정신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기자가 약속을 잡고 방문했지만 협력단 직원들은 중소기업 관계자들과 상담을 하느라 한참이 지나서야 인사를 나눌수 있었다.

한밭대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 홍은영 팀장(산학협력코디네이터)은 "한밭대에 사용 가능한 연구 장비들은 이미 1년치가 모두 예약돼 있는데 예약없이 찾아오는 중소기업인들도 많다"면서 "예약이 없어도 시간을 쪼개고 쪼개서 연구 장비를 활용, 각종 실험 및 검사를 해 주고 있다"고 말했다.

홍 팀장은 "오죽하면 중소기업들이 주말에도 뛰어다니겠냐"면서 "우리가 나서지 않으면 중소기업들은 더 힘들어 진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밭대의 연구 장비들의 경우 대학 내 연구가 30%이고 나머지 70%가 외부 연구용이다. 70% 가운데 거의 대부분은 중소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

홍 팀장은 "장비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박사들도 중소기업들을 돕겠다는 열린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야근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청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중소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 국가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중소기업들에게는 기술경쟁력을 높여주는 사업에 적극 앞장서고 있다. 한국산학연협회가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의 전문기관으로 밤낮없이 뛰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그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164개 기관 최첨단 장비 수시 이용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이 중기청의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통해 적은 경제적 부담으로 연구 개발에 힘을 얻고 있다.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은 신제품·신기술 개발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려는 중소기업이 서울대학교 등 164개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1만 대 이상의 첨단 연구장비를 이용할 수 있는 사업이다. 참여 중소기업은 장비 사용료의 60~70%, 최대 3000만원까지 지원받는다. 지난해 이 사업의 지원규모는 184억원이었으며 올해는 작년보다 소폭 줄어든 165억원이다. 선착순 지원 방식으로 진행되며 참여 기업은 바우처(쿠폰) 구매금액 안에서 164개 대학·연구기관 장비를 언제든 사용할 수 있다.

한국산학연협회 관계자는 "최대 지원금이 5000만원이었지만 신청하는 중소기업들이 많아 지원금을 줄이는 대신 더 많은 중소기업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정책이 변경됐다"고 말했다.

■중기청, 1000억원 투입…1만여 기업 혜택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에 참여하려면 중소기업청을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신청자격 요건에 해당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 사업을 신청하면 된다. 참여기업 승인 후 바우처를 구매해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데,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바우처를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우처 구매 후 장비 이용 절차는 총 5단계다. 먼저 원하는 장비 검색과 대학·연구기관과의 협의 등을 통해 장비를 예약해야 한다. 이후 주관기관인 대학·연구기관에서 해당 장비에 대한 이용 승인을 받는다. 이를 거치면 기업은 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우처를 사용해 이용한 금액을 결제하면 된다.

사업총괄은 중소기업청이 맡는다. 서울지방중기청 및 각 지방중기청은 사업을 관리하며, 한국산학연합회가 전담기관 역할을 한다. 2007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중기청은 이 사업에 835억원을 투입했다. 이를 통해 연평균 1500개 내외 중소기업, 총 1만458개 기업이 혜택을 봤다.

지난 2009년 공동활용을 목적으로 등록된 장비는 6600여대이며,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작년엔 1만681대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1만대를 넘었다.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장비는 11만여종(시가 5조 9000억원)에 달한다.


한국산학연협회 관계자는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첨단·고가 연구장비를 중소기업 기술개발 시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국가장비의 활용률을 제고하고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에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yutoo@fnnews.com 최영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