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4대강 큰빗이끼벌레 유해성 없어? 논란은 여전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12.19 08:35

수정 2014.12.19 08:35

정부가 "4대강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의 유해성과 독성은 없다"고 발표했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오히려 정부의 연구결과가 4대강 사업 이후 4대 강이 흐르지 않은 저수지가 됐다는 것을 공식 확인한 셈이라는 것이다.

정부에 반박하는 전문가들은 "큰빗이끼벌레가 창궐하면 알레르기원이 많아져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19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여름 금강 유역에서 큰빗이끼벌레를 수집해 조사한 결과 미성숙, 성숙, 사멸 등 성장단계별로 어류에게 유해성 및 독성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류덕희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부장은 "어류를 큰빗이끼벌레에 접촉시키는 실험에서도 영향이 없었으며 실험 도중에 어류가 큰빗이끼벌레를 먹는 것도 관찰되는 등 독성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금강 공주보 인근 큰빗이끼벌레를 채취해 분석한 충남도 큰빗이끼벌레 민관 공동조사단의 연구와 상반된다.
공동조사단은 "큰빗이끼벌레가 분해되면서 물속의 산소 농도가 급격히 줄어들고 수생 동식물에 영향을 주는 유해성분은 크게 증가했다"고 주장했었다.

대전환경운동연합도 정부 발표 후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가 처음으로 큰빗이끼벌레와 4대강 사업의 연관성을 인정했다는 점에서는 큰 의미가 있다"라며 "생태독성 조사에서 유속이 느린 곳이 아닌 빠른 지점에 조사 위치를 선정한 점, 세부적인 화학 독성실험이 빠져있는 점은 조사의 신뢰성을 떨어뜨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주대학교 정민걸 환경교육과 교수 역시 "물이 흐르지 않거나 거의 흐르지 않는 곳에 서식하는 큰빗이끼벌레가 4대강사업 이후 4대강에 대량으로 번성하고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것"이라며 "큰빗이끼벌레 창궐은 4대강의 생태적 재앙을 다시 한 번 경고하는 생태지표"라고 꼬집었다.

정 교수는 지난 10월 대한하천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큰빗이끼벌레가 창궐하여 알레르기원이 많아지면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4대강에서 큰빗이끼벌레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를 안내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정 교수와 환경단체는 그러면서 정부와 시민단체의 공동 연구를 요구했다.
정부의 실험은 처음부터 결론을 정해놓고 시작된 것이므로 조사 방법 자체가 올바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데이터, 실험 방법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도 브리핑 당시 "이번 조사 결과는 7~11월 동안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특정지점에서 큰빗이끼벌레 분포 양상, 봄~여름철의 발생·성장조건 등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해명한 만큼 추가 연구가 진행될 지 주목된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