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여의도에서] 땅콩의 나비효과

안승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12.19 17:23

수정 2014.12.19 17:23

[여의도에서] 땅콩의 나비효과

대략 10년쯤 전에 한 무명감독이 만든 '나비효과'라는 영화가 의외의 흥행 돌풍을 일으킨 적이 있다.

에릭 브레스라는 별로 유명하지 않은 감독이 연출하고 당시 신인 정도였던 애슈턴 커처가 주연한 이 작품은 독특한 스토리 구조 덕분에 마니아들 사이에서 지금도 명작으로 꼽힌다.

내용은 이렇다. 잠깐 동안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젊은이가 옛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을 바로잡기 위해 시간여행을 한다. 그런데 그때마다 현실로 돌아오면 전혀 엉뚱한 결과가 벌어져 있다.

이를 반복할 때마다 문제가 해결되기는커녕 또 다른 문제가 생겨 도저히 손쓸 수 없는 상황까지 치닫게 된다.


나비효과는 작은 발단이 커다란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과학이론이지만 요즘에는 현대시대의 속담처럼 쓰이는 말이다.

지난 2006년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가 한 지방의 목축연구소를 방문해 "중국 모든 어린이들에게 매일 우유를 마실 수 있게 하는 게 꿈이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목축기술의 발전을 응원하는 말이었지만 전혀 엉뚱한 결과를 초래했다.

중국 전역에서 우유 마시기 운동이 벌어지면서 소비량이 늘어나자 2007년 전 세계 탈지분유 가격과 액상우유 선물 가격은 전년 대비 두 배나 뛰어올랐다.

모차렐라 치즈와 버터 가격까지 급등하자 독일에서는 치즈 사재기가 벌어졌으며, 미국의 피자 체인들은 피자 가격을 인상했다. 이게 바로 '나비효과'다.

이런저런 잘못 때문에 올 한 해 교도소에서 추운 날들을 보내고 있는 재벌 총수가 몇 명 있다. 요즘 들어 사회적으로 서서히 무르익어가는 '사면 분위기'를 보면서 내심 기대들이 컸을 것이다.

이 상태로 잘 가다 보면 내년 봄 진달래 필 무렵에는 집에서 따듯한 밥을 먹는 것도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았다. 적어도 '그녀'가 비행기 안에서 땅콩 때문에 난리를 치기 전까지는 그랬다.

요즘 재계 몇몇 관계자들을 만나보면 '미치고 환장할 노릇'이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 가뜩이나 대기업 총수들이 실형을 받고도 사면받는 것에 대해 사회적 시선이 안 좋은데, '땅콩 회항' 사건으로 당분간은 아예 기대도 못하게 생겼다는 것이다. 이것도 '나비효과'인 셈.

기업의 소유주가 경영자이기도 한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서 '오너'의 부재는 경영의 정지를 의미하는 게 현실이다. 기업인이라고 해서 죄를 쉽게 사면 해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해득실을 잘 따져 그들을 일선 현장으로 돌려보내 사업으로 이 사회에 더 큰 보탬이 되게 하자는 의미로 중도 사면이라는 수단이 존재한다.

내년에도 월급이 올라야 할 '아버지', 취직해야 할 '취준생', 물건을 팔아야할 '상인'들이 주변에 넘쳐난다.
기업이 잘 돌아가야 고용이 늘고, 소비도가 활성화되며, 돈을 돌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서민들의 주머니도 채워준다. 땅콩 때문에 죄를 지은 여인은 죗값을 치르게 하되 그게 나비효과가 되어 엉뚱한 곳으로 불똥이 튀어서는 안 된다.
계산기를 잘 두드려야 할 때다.

ahnman@fnnews.com 안승현 산업부 차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