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데스크 칼럼] 조선산업 위기 돌파, 길은 있다

신홍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1.10 16:52

수정 2016.01.11 17:05

[데스크 칼럼] 조선산업 위기 돌파, 길은 있다

지난해 국내 조선 3사 적자 규모가 8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이 5조원, 삼성중공업 1조4000억~1조5000억원, 현대중공업 1조4000억~1조5000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까지 합하면 2년 만에 무려 10조원이 넘는 적자를 봤다. 대부분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적자를 냈다. 10조원의 엄청난 적자를 털어낸다 해도 조선 3사의 해양플랜트 수주 잔량이 200억달러가 넘어 앞으로 대규모 추가부실도 우려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력산업인 조선업은 한때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하며 세계시장을 주름잡았다.
선박 건조는 물론 엔지니어링.설계 부문도 상당한 수준까지 올라와 국내 수출에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이런 조선산업이 왜 붕괴 직전까지 몰렸을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크게 두 가지만은 분명해 보인다.

우선 자만심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상당기간 선박 건조에서 세계 최강의 경쟁력을 보였다. 컨테이너선부터 유조선까지, 세계 대양을 누비는 선박 중 상당수를 국내 조선사들이 만들었다.

한동안 승승장구했던 국내 조선사들은 새로운 먹거리가 필요했고, 당시 신시장이었던 해양플랜트에 눈을 돌렸다. 하지만 해양플랜트는 선박 건조와는 달리 프로젝트별로 특징이 있었고, 그에 맞는 설계와 구매, 관리가 필요했다. 하지만 경험이 일천했던 국내 조선사들은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고, 발주처로부터 불신을 받게 되면서 적자의 늪으로 빠져들었다.

두 번째는 국내 업체 간 과당경쟁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새로운 먹거리라는 소문에 너도나도 뛰어들어 저가수주도 마다하지 않았다. 저가수주는 곧 적자로 연결됐고 수주물량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적자도 큰 폭으로 확대됐다.

다행히 최근에 조선사들은 자구노력을 강화하고 과거의 나쁜 수주관행에서 탈피하면서 이런 모습은 크게 개선됐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올해도 글로벌 조선경기는 나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셰일가스 개발 붐으로 저유가 현상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에코십 투자 부진, 해양플랜트 침체 지속 등 전반적인 수주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지방자치단체가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울산광역시가 정부와 협력해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인더스트리 4.0s'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심각한 불황을 겪고 있는 조선산업에 ICT를 접목해 고부가가치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하드웨어 측면이 강한 조선산업에 최첨단 소프트웨어 기술인 ICT로 불황의 돌파구를 열겠다는 복안이다.

울산시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4년 세계 시장 점유율은 31%였다.

다 죽어가는 조선산업을 살리기 위해 지자체가 중앙정부와 협력하는 모습은 좋은 본보기다.
이런 사례가 전국적으로 확대돼야 하고 정부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조선사들도 지원만 기대할 것이 아니라 조선산업이 백지상태였던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한국은행권 500원짜리 지폐에 그려진 거북선으로 선박을 수주했던 '개척정신'의 의미가 절실한 때다.

shin@fnnews.com 신홍범 산업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