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여의도에서] 정부-서울시, 시너지효과 내길

김두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2.19 17:33

수정 2016.02.19 17:33

최근 정부가 발표한 '투자활성화 대책'을 보면서 눈에 띄는 사실을 발견했다. 서울시가 이미 펼쳐왔거나 강조해온 정책들이 다수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며 갈등을 빚어온 것으로 인식된 서울시의 정책을 정부도 평가한 데 따른 결과라는 일각의 분석에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대표적인 것이 공유경제다. 서울시는 '공유서울' 선포 4년차를 맞고 있다. 서울의 공유경제는 나눔카, 주차장공유, 공공자전거, 공공도서관부터 아이옷·장난감 공유, 빈방이 있는 어르신과 대학생을 연결해주는 '한 지붕 세대 공감' 사업까지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6일 에어비앤비의 공동창업자 조 게비아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세계인의 지식 나눔축제 TED콘퍼런스 강연에서 공유경제의 미래를 언급하며 "서울은 이미 시작했다"고 소개해 주목받기도 했다.

주요 기업들의 연구소가 모여 있는 양재·우면동 일대를 특구로 조성해 규제를 풀고 연구개발(R&D) 집적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 역시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약 1개월간 일자리대장정을 통해 삼성·LG·KT 등 7개 기업과 R&D 혁신지구 육성을 위한 협약을 맺고 '일자리 창출의 보고'로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 밖에 R&D, 바이오.의료, 정보기술(IT), 문화콘텐츠 등 '서울형 10대 신성장산업'을 발굴, 미래 먹거리산업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맥킨지 등의 자문을 받아 서울의 전통적 산업구조, 서울에 집적된 60여개 대학 등 인력 분포, 미래 산업 트렌드를 모두 조합해 발굴했을 정도로 정성을 들였다.

지난 17일 현대차그룹 김용환 부회장과 공동 발표한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립계획도 그 일환이다. 총 27년간 경제파급효과 265조6000억원, 고용창출효과는 121만6000명으로 분석될 만큼 대규모 사업이다. 한국 경제가 수출부진으로 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희망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나아가 현대차의 한전 부지를
[여의도에서] 정부-서울시, 시너지효과 내길

중심으로 코엑스, 탄천, 종합운동장, 한강까지 공간적으로 통합한 '국제교류복합지구'를 조성하면 외국인관광객 유치와 고용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자산업 MICE산업이 다시 한번 도약의 계기를 맞게 된다.

서울의 도시재생 사업도 줄줄이 본격화된다. 지난 한 해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서울역 고가 '7017 프로젝트',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복합 건물로 1970∼1980년대 전자 메카였으나 이후 침체 일로를 겪은 세운상가를 창의제조산업단지로 변모시키는 '다시세운 프로젝트', 금명간 발표 예정인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이 대표적이다. 이들 사업의 공통적인 구상은 21세기 전 세계적 흐름인 '걷는 도시'를 만들어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과거 전면 철거형 재개발과 결별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특히 서울시가 이처럼 눈에 보이는 대규모 하드웨어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비치지만 전부는 아니다. 청년 절망이라는 시대의 화두에 주목해 청년활동수당 등 20개 사업의 '서울형 청년보장'은 정부 반대에도 '대청마루'라는 20인의 범사회적 대화기구를 발족시키고 있다. 지난해 일자리대장정에서 청년들의 열망과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청년들에게 '기회'라는 희망의 사다리를 반드시 놓겠다는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갑을관계 불공정거래 문화 근절 등을 내세운 '경제민주화 서울 선언'도 주목받는 정책들이다. 서울시는 시민 삶의 현장과 맞닿아 있는 지방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지난 2014년부터 내용을 준비하고 구체화해왔다.
서울시가 내세우는 사람 중심, 협치의 정책 가운데 정부나 다른 자자체에서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추려 확산시키는 긍정의 에너지가 일어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dikim@fnnews.com 김두일 사회부 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