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피플일반

[fn이사람] 정희수 하나금융연구소 개인금융 팀장

이환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3.27 18:19

수정 2016.03.27 18:19

"가계부채, 정부·금융사 함께 대응해야"
[fn이사람] 정희수 하나금융연구소 개인금융 팀장

"국내 가계부채 문제는 미국 금리인상, 중국 경기침체 등 외부충격과 결합하면 금융위기의 트리거(방아쇠)가 될 수 있다."

정희수 하나금융연구소 개인금융팀장(사진)은 1997년, 2008년에 이어 향후 3차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을 언급한 뒤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금융사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가계부채 문제가 현재 초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수면 아래로 내려가 있지만 조그마한 외부충격에도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 팀장은 여러 연구보고서 등을 통해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알려왔다.

정 팀장은 "현재 12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규모도 크고 증가 속도도 빠르다"며 "경기회복기에는 빚이 늘어도 선순환되지만 저성장.하강기의 부채 증가는 위험하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기준 명목 GDP(1559조원)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77%(1207조원)로 한국은행이 관련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2년 이후 최대치다.
가계빚 증가폭도 11.2%로 2006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컸다.

정 팀장은 "현 상황에서 가계부채로 시발되는 위기가 올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유동성이 풀린 상태에서 미국이 금리를 올려 유동성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의 자금유출→경기하락→부동산 시장 침체→가계부채 부실화→금융위기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 중국 경기 연착륙(7% 미만 경제성장) 등이 가능한 외부 충격"이라며 "이런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국내 금융사의 부실채권 비율이나 연체율 같은 수치는 (현재 안정적일지라도) 지표로서 의미가 없다"고 경고했다.

단, 미국이 금리를 빠른 속도로 대폭 올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자국 이기주의 측면에서도 현재 미국이 금리를 올려도 얻을 게 많지 않다"며 "세계 경제에 영향력이 큰 미국이 유럽, 일본 등 다른 선진국과 통화정책을 반대로 가져가면 경기가 다시 위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본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해 경기회복을 유도한 뒤 2000년 중반에 금리를 올렸다가 경기가 다시 위축되자 제로금리 체제로 돌아갔다.

한국에 앞서 위기를 경험한 일본의 경우 '잃어버린 20년' 동안 부동산 가격은 최고점 대비 50% 이상 폭락했다. 1990년 초반 이후 버블 붕괴와 1990년 후반의 디플레이션으로 자산 가치가 대폭 하락한 것이다.


정 팀장은 한국이 일본과 같은 경기침체를 겪을 경우 그 피해가 더 클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일본의 경우 버블세대를 거친 5년 동안 자산 가격이 3배 이상 상승해 가치 하락 충격을 완화할 수 있었다"며 "한국의 고령층은 일본처럼 부를 축적한 적이 없어 패턴은 비슷하지만 위기가 올 경우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으로 가계부채 문제는 고용 확대를 통한 소득 증대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부채총량 규제, 전.월세 상한제 등을 통해 과도한 주거비 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