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신무환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기술원장

조석장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3.31 20:05

수정 2016.03.31 20:05

도약의 발판 삼아야 할 '신기후체제'
[특별기고] 신무환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기술원장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대기환경의 오염은 우리 생활에 적잖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가정과 산업 현장에서 내뿜은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 및 이상기후 현상을 초래한다. 전 지구적으로 홍수, 태풍, 쓰나미 등 기상재해가 빈발하고, 북극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남태평양의 일부 섬들은 지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환경오염은 생명체에 직접적 위험 요인으로 2012년 한해 동안 전 세계 사망자의 약 4분의 1이 대기.수질.토양 오염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 탓에 목숨을 잃는다고 한다.

기후변화협약 196개 당사국이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 작년 12월 15일 '파리 협정'을 채택함으로써 신기후체제가 출범했다. 파리협정의 목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2℃ 보다 '현격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국가별로 자체 목표(INDC)를 정해 이행해야 한다.
세계 7위의 탄소 배출국인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를 줄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에너지 다소비 산업 구조인 우리나라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에너지 산업의 변화가 필수적이다. 기존 에너지 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 등 신기술을 융합하는 에너지 신사업을 통해 신기후체제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원을 수력, 지열, 풍력, 태양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 에너지로 대체해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해야 한다. 화석연료 사용 비중이 높은 국내 산업계가 저탄소 구조로 전환하려면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 하지만 '위기가 곧 기회'라는 말처럼 신기후체제는 저성장 기조에 들어선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4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가 전체 에너지 생산의 55%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거대한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 실제로 국내 에너지 공기업을 중심으로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수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를 새로운 동력으로 보고 기술 개발 등에 투자하고 있으며, 에너지 신사업 육성 및 전력 분야 10대 프로젝트를 이끌 에너지 신사업실을 신설해 해외의 수력시장 진출도 확대할 계획을 세웠다. 또한, 한국전력은 작년 말 요르단과 5억1천만 달러 규모의 '푸제이즈 풍력발전소' 전력판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에너지 신사업은 시장 창출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근혜 대통령은 기후변화 정상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2030 에너지 신사업 육성 전략'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100조원 규모의 시장과 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정부가 정책으로 앞에서 끌고, 민간이 투자로 뒤에서 미는 '선순환'의 사례가 목격된다. SKT는 에너지 신사업 추진단을 신설하고, 정부의 스마트 그리드 확산 사업과 연계해 '전력수요 관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LS산전도 "스마트 그리드 등 에너지 신사업 육성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온실가스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전 세계적 흐름이다. 국가적 아젠다로서의 위상에 걸맞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컨트롤 타워의 구축 등은 여전히 풀어야할 숙제이다.
신기후체제에 적합하도록 산업 구조를 전환하고, 기업도 신사업을 이끌도록 조직을 재편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변화를 모색해야 할 때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