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식도이완불능증, 역류성식도염과 증상 비슷해 오인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7.12 15:12

수정 2016.07.12 15:12

식도이완불능증, 역류성식도염과 증상 비슷해 오인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슴 쓰림, 역류, 목의 이물감, 목통증 등의 증상이 있으면 대부분 '역류성식도염'으로 생각하고 약을 복용하지만 증상 호전이 안 되는 경우 '식도이완불능증'을 의심해 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음식을 먹을 때 식도 괄약근이 수축과 확장을 하는 연동운동을 통해 식도가 이완되면서 위장에 도달한다. 하지만 '식도이완불능증'은 식도의 연동운동이 되지 않고 하부식도괄약근압이 증가하면서 충분히 이완되지 못해 음식물이 위장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식도 내에 정체되어 역류되는 질환이다.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에서 식도암 발생율은 0.4∼9.2%로 보고되며, 건강한 사람에 비하여 식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4∼140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음식물을 삼키기 힘들고 가슴 통증과 음식물의 역류, 가슴쓰림, 트림 장애, 딸국질, 목의 이물감 등의 증상으로 역류성식도염과 증상이 비슷해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역류성식도염은 식도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거나 식도가 통과되어 내려오는 횡격막의 틈이 벌어져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역류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지 않는 식도이완불능증과는 증상의 발생 원인과 치료법에 있어 차이가 있다.


중앙대학교병원 외과 박중민 교수는 "비슷한 증상 때문에 식도이완불능증을 역류성식도염으로 오인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고생하는 환자들이 많은데, 두 질환은 증상은 비슷하지만 치료법에 있어 차이가 있어 반드시 구분되어야 한다"며 "식도이완불능증 환자는 역류성식도염 약물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기 때문에 삼킴곤란과 역류가 지속되며 체중감소가 있는 경우에도 '식도이완불능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식도이완불능증의 진단방법으로는 식도조영술 검사를 통해 식도의 연동운동이 없이 식도가 확장되어 있고 하부식도가 협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식도 내부와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을 측정하는 식도내압검사를 통해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의 상승 및 하부식도괄약근 이완이 불완전한지를 관찰해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삼킴곤란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인 식도암이 아닌지 확인을 위해 위내시경을 반드시 해야한다.

식도이완불능증의 치료는 약물치료, 보툴리늄 독소 주입법, 풍선확장술, 내시경적 근절개술, 복강경수술요법 등이 있다.

약물치료는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투여할 경우 효과가 점점 떨어지고, 두통,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보툴리늄 독소 주입법과 풍선 확장술 또한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많다. 특히 근본적인 수술 치료법의 성공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고려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내시경 또는 복강경 수술을 이용해 식도 근육층을 직접 자르는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복강경수술은 수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위식도 역류를 방지하는 항역류수술을 포함하기 때문에 삼킴곤란 증상과 위식도 역류 증상을 둘 다 잡을 수 있어 장기적인 효과에 있어서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앙대병원 외과 박중민 교수는 "식도이완불능증은 방치될 경우 식도암에 걸릴 위험이 높으며, 삼킴곤란과 극심한 역류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며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있으면서 역류성식도염 약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제대로 된 치료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