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통계·그래픽을 통해 본 한국사회(5)] ‘일자리 빅뱅’ 초읽기.. 10명 중 8명 "금융업 일자리 위태"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12.05 17:39

수정 2016.12.05 22:15

4차 산업혁명 앞둔 한국사회
인공지능·첨단기술 발달로 제조업~사무직 모두 영향권
금융+IT ‘핀테크’ 확산되며 금융업 종사자 직격탄 우려
[통계·그래픽을 통해 본 한국사회(5)] ‘일자리 빅뱅’ 초읽기.. 10명 중 8명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한국 사회는 '일자리 빅뱅'을 예고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첨단 기술의 발달은 일자리를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된다. 제조직부터 사무직까지 모든 직종에 걸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전통적으로 안정적이고, 고임금 직종으로 꼽히는 금융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금융에 정보기술(IT)을 결합한 '핀테크'가 확산되면서 은행 창구직원 등 금융업 근로자가 불필요해진 데 따른 것이다.

■한국사회 '일자리 빅뱅' 초읽기

4차 산업혁명으로 직장인 상당수는 자신이 종사하는 직업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7월 직장인 1006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4.7%는 인공지능과 첨단기술로 인해 자신이 종사하는 직업에서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기술적 변화에도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3.0%에 불과했다. 직종별 일자리 전망은 엇갈렸다.

금융.보험 관련직(81.8%), 화학 관련직(63.6%), 재료 관련직(61.4%)에서 기술적 요인에 의해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 평균(44.7%)보다 높았다.

금융권 종사자의 일자리 감소 예상이 가장 큰 이유는 금융권에서 현재 활약하고 있는 인공지능 로보어드바이저와 핀테크, 인터넷전문은행 등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정보원은 분석했다.

업무가 자동화될 가능성이 높은 재료 관련직(용접원, 도장기조작원)과 화학 관련직(화학제품생산기조작원 등) 종사자들 역시 기술적 요인으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사회복지사, 보육교사, 성직자 등)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감소가 가장 적을 것(13.6%)으로 분석했다. 전산화, 자동화 등 기술적 변화로 인해 현재 업무의 약 4분의 1 정도가 대체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53.4%에 달했다. 이어 대체 불가능(20.0%), 업무의 2분의 1 이상 대체(26.7%) 등의 순이다.

특히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은 기술적 요인에 의해 현재 수행하는 업무를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59.0%였지만 금융.보험 관련직은 '대체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0%로 나타났다.

■금융업 "일자리 충격 대비해야"

설문조사에서처럼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는 기우에 그친 것이 아니다. 실제로 우리 산업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인 고임금.안정적 직장으로 꼽히는 금융업이 대표적이다.

고용노동부의 '2016년 9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9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1678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만9000명(2.3%)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수는 40만명(2.9%) 증가했지만 임시.일용근로자는 1만4000명(0.8%), 기타종사자는 6000명(0.7%) 줄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0만9000명), 도.소매업(7만6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만4000명) 순으로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1만9000명)은 감소했다. 특히 은행.신용카드사 등 금융업 종사자 수는 26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6월 27만1000명을 정점으로 16개월 연속 감소하는 추세다.

신규채용도 부진해 올해 1∼9월 금융업 신규채용은 지난해보다 4000명 감소했다. 신한.국민.우리.KEB하나 등 4대 은행의 올해 1∼9월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4%나 증가했지만, 채용을 줄이는 것은 '핀테크'의 영향 등으로 분석된다. 금융업이 대표적인 고임금 업종이라는 점에서 우려는 더 크다. 반도체, 휴대폰 등이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도 2014년 7월 이후 27개월 연속 종사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

정부도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빅뱅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직업훈련을 신산업 위주로 개편하고 로봇.바이오 등 관련 기술자격증을 신설하는 내용이 골자다. 하지만 정부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고용노동부 등에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미래 신기술분야 인력 양성을 확대할 예정이지만 민관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선도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