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부, 5년간 R&D 7조원 투자 등 12대 신산업 집중 육성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12.21 14:33

수정 2016.12.21 14:33

정부가 민간과 함께 12대 신산업을 정하고 규제완화, 성과중심 집중지원, 융합 플랫폼 구축, 시장 창출 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향후 5년간 R&D자금만 7조원을 투자한다.

계획대로 이뤄지면 2015년까지 신산업 비중이 2배로 확대되고 12대 신산업에서 일자리 38만개가 추가 창출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경제·금융·신산업 민간 전문가 등 20여명과 제4차 신산업 민간협의회를 갖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책과제’ 최종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중점 지원 12개 신산업을 첨단신소재,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전기·자율차, 스마트·친환경선박, 사물인터넷(IoT)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에너지신산업 등으로 정했다.

2018년까지 전기·자율차, 에너지신산업, 신소재 등에 80조원 규모로 투자할 국내기업의 계획, 글로벌 시장규모 성장전망, 업종별 4대 트렌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2대 신산업 청사진을 제시했다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4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기존 진입규제 네거티브 심사방식을 12대 신산업 전반에 확대하고 로봇, VR 등 제도가 미비한 분야는 가이드라인 마련, 선제적 인증개발 등을 추진한다.

또 12대 신산업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향후 5년간 민관합동으로 7조원 이상의 R&D자금 투입, R&D 연구자 이력관리제 도입 등을 진행한다.

기업 주도로 산학연 협력 활성화 차원에선 기업 주도로 앞으로 5년 동안 12대 신산업에서 3만명의 창의인력을 양성하며 유연한 근로관계와 보상체계 마련키로 했다.

아울러 현재 9개 융합얼라이언스 모델을 신산업 전반으로 확산하고, 조속히 성공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과감하게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신산업의 시장 창출을 위해 내년부터 주거, 건강, 이동, 산업, 도시 등 5대 부문을 중심으로 대규모 실증사업 추진한다. 전기차, 의료로봇 등 분야의 경우 공공구매 및 공공보급 사업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5년까지 12개 신산업별 청사진을 그렸다. 전기·자율차는 전기수소차 35만대를 수출하고 레벨 4 자율차 시대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선박은 액화천연가스(LNG)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 점유율 70%로 확대하고 IoT가전은 수출 200억달러를 달성하며 로봇은 생산 10조원, 수출 40억달러를 목표로 잡았다.

바이오헬스는 의료정보 빅데이터화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선점하고 항공·드론은 30억달러 규모의 상업용·고기능·중대형 무인기 시장을 창출한다.

프리미엄 소비재는 설화수와 같은 글로벌 매출 1조원 프리미엄 브랜드 15개 창출하며 에너지신산업은 신재생 수출 200억달러, 스마트미터 보급 2200만호 확대(2020년) 등으로 세웠다.

△첨단단신소재는 탄소소재, 타이타늄 등 경량·친환경 첨단 소재 수출 230억달러 △AR/VR은 매출 1000억이상 전문기업 100개사 창출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OLED로의 주력품목 전환(매출액비중 75%) △차세대 반도체는 저전력·초경량·초고속 시스템 반도체 세계시장 점유율 10% 달성 등이다.


주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산업환경 변화는 4가지 메가트렌드로 대표되며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면서 “주요국에 비해 메가트렌드에 대한 대응수준과 역량은 미흡하지만 민관이 역량을 모아 신속히 대응한다면 기회의 창문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