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데스크 칼럼] 경제위기 극복, 소비심리 회복부터

정훈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05 17:44

수정 2017.01.05 17:44

[데스크 칼럼] 경제위기 극복, 소비심리 회복부터

희망찬 새해가 밝았다. 그렇지만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그 어느 해보다 암울하다. 자국의 경제와 기업의 이익에 초점을 맞춘 보호무역주의를 예고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에 따라 세계무역 질서가 경제대국 위주로 급속히 개편될 전망이다. 우리나라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국인 '차이나 리스크'도 감당하기 버거운 악재다. 지난해 말 정부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의 경제보복이 우려를 넘어 노골화되고 있다. 현지 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일방적인 세무조사와 수출상품에 대한 통관검역 강화 등으로 기업들이 애를 먹고 있다.
여행사를 통한 한국으로의 단체관광객도 제한한다.

가뜩이나 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화되고 G2인 미국과 중국 간 패권경쟁과 통상마찰마저 예고된 상황이다. 우리로서는 이래저래 고래싸움에 '새우등' 신세가 될 수밖에 없다. 수출의존도가 70%를 차지하는 데다 58년 만의 2년 연속 수출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위기에 빠진 수출전선에 잔뜩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경제의 또 한 축인 내수시장도 호락호락하지 않다. 당장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올해부터는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하고 기업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업대란과 청년실업난, 사상 초유의 가계부채 누적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 구조적 악재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낸다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사상 처음으로 2%대로 낮춰 2.6%로 내놓았지만 국민이나 기업들은 이마저도 믿지 않는 분위기다. 파이낸셜뉴스가 각계 2017명을 대상으로 한 경제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34%가 성장률 전망치를 2% 미만으로 꼽았다. 한국개발연구원도 소비심리가 크게 악화되고 있고 이것이 상당기간 경기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런 상황이니 수출·소비·고용 등 3대 경제지표가 꼭 20년 전의 외환위기 때보다 더 혹독한 상황이 올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부존자원 빈국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는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다. 우리에겐 세계사에 길이 남을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한 사례에서 보듯이 어려울수록 국민과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가 똘똘 뭉쳐 위기를 극복한 국민성과 전통이 있다. 그런 점에서 경제정책 수장인 유일호 경제부총리의 정유년 신년사 화두인 '마부작침(磨斧作針)'은 시의적절하다. 유 부총리는 마부작침의 자세로 신발끈을 다시 한번 동여매자고 했다. 마부작침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고사성어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위기일 때가 오히려 기회다. 마침 내수산업 핵심업종인 유통·식품기업들이 한결같이 혁신, 유망기업 인수합병(M&A), 글로벌 사업 강화를 올해의 경영 키워드로 내세웠다. 모두 적극적인 투자와 각종 유통혁신 등으로 축 처진 소비심리를 살리고 경기불황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정부나 정치권에서 당장의 소비절벽을 넘기 위한 대책에는 뒷짐을 지는 상황이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등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도 중요하다. 그러나 당장 눈앞의 위기를 극복할 내수진작책은 더 중요해 보인다.
그것은 바로 기업과 가계가 맘놓고 호주머니를 열 수 있도록 정책당국과 정치권이 힘을 모아 하루빨리 불확실성을 걷어내는 일이다.

poongnue@fnnews.com 정훈식 생활경제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