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취업 쉽지않아".. 시장 살아나도 고급인력 공백 불가피

안태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11 19:14

수정 2017.01.11 22:29

조선업계 해양플랜트 일감 바닥에 협력사 직원 1만8000명 실직 위기
조선 '빅3' 추가 수주 '0'.. 올 수주물량 대부분 인도
건설경기 좋지않아 갈곳 없어.. 올 하반기 시장 개선 전망
"재취업 쉽지않아".. 시장 살아나도 고급인력 공백 불가피

한 때 한국 조선업계의 먹거리로 부상했던 해양플랜트가 저유가 기조로 시황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협력사 직원들이 대규모 실직 위기에 몰렸다.

올해 내에 약 1만8000명의 인력이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했지만 재취업이 어려울 전망이다. 또한 향후 해양플랜트 호황이 다시 찾아왔을 때 숙련된 기술자의 부족현상을 겪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해양플랜트 협력사 직원 대거 실직 위기

11일 업계에 따르면 해양플랜트 수주 부진으로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대형3사의 해양플랜트 건조에 투입된 협력사 직원들 약 1만8000여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인도하는 해양플랜트에 5400명이 투입돼 있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협력사 직원 8000여명 투입돼있고 10척 중 9척이 올해 내에 인도된다.
삼성중공업은 18척 중 11척이 올해 인도되며 1만명 가량이 건조에 투입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해양플랜트 공사의 특성상 한 척에 1000~2000명의 인력이 투입되지만 추가 수주가 없어 협력사 인력들이 갈 곳이 없어졌다는 점이다.

일부 인력은 선박 건조에 투입되지만 선박 수주실적도 여의치 않은 데다 선박 한 척당 100~200명 정도만 필요해 해양플랜트 수주가 없으면 실직자가 대거 발생할 수밖에 없다. 아울러 이들 대부분은 협력업체 직원들이어서 처우가 더 열악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상선의 경우 정규직 대 협력직 비율이 3대7 정도인데 해양플랜트의 경우 협력직 비율이 더 높다"며 "특히 정부의 고용지원 정책이 정규직에 방점이 찍혀있어 협력사 직원들은 생계가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자리 잃으면 갈 곳 없어… '재취업 쉽지 않아'

해양플랜트는 2010년부터 한국 조선업계의 신성장동력으로 떠올랐다. 오일메이저는 유가가 오르자 심해 해양플랜트를 대거 발주했고 조선 3사는 경쟁적으로 수주경쟁에 뛰어들었다. 조선소는 넘치는 물량을 소화하기 위해 협력사 인력을 대거 투입시켰다. 주로 중형조선소와 건설업계에서 인력을 수급했다. 대형 조선 3사에서 인력이 부족하자 중소형조선소 인력을 웃돈을 주고 빼가기도 했으며, 건설업 보다 해양플랜트 관련 일자리 조건이 더 나아서 건설업 쪽에서 많은 인력이 넘어왔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조선업계 전문가는 "조선 3사에서 인력을 빼가서 중소형 조선소의 건조 스케줄이 꼬였다. 여기서부터 중형조선소들의 어려움이 시작된 측면이 있다. SPP조선이 대표적"이라며 "이제는 돌아갈 곳이 없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건설경기도 좋지 않아 협력사 직원들의 재취업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해양플랜트 살아나도 '고급인력 수급 문제'

전문가들은 유가가 서서히 오르고 있고 해양플랜트의 채산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올해 하반기 혹은 2018년에는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해양플랜트 수주 계약을 마무리 한 후에는 설계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건조에 들어가기 위해선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지난 2년간 한국 조선업계가 수주한 해양플랜트가 거의 없어 당분간 인력 수요 공백이 불가피하다.

김영훈 경남대 조선해양IT학과 교수는 "삼성중공업이 올해 초 해양플랜트 수주에 성공했지만 건조 인력 공백기를 매우기에는 조금 늦은 감이 있다"면서도 "발주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다수 있는 걸로 알고 있다.
곧 시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다면 차후에 인력 해양플랜트 건조에 경험이 많은 인력수급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협력사 대표는 "해양플랜트 건조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는데 그 경험을 지닌 이들이 나중에 다시 돌아올지 모르는 일"이라며 "다시 시황이 좋아져도 초기 비용을 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