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지난해 유.무상증자 6조 넘어 '3년來 최대'

김영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22 17:09

수정 2017.01.22 17:09

조선.해운 등 취약업종 신용등급 변동성 심화 회사채 발행 부담 커져 증자 통해 기업 자금조달
지난해 유.무상증자 6조 넘어 '3년來 최대'


지난해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를 통한 기업들의 자금조달 규모가 3년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회사채 시장이 침체를 겪은데 따른 반사이익이라는 설명이다. 회사채 시장은 올해 들어서도 당분간 우량등급 위주로 쏠림이 지속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증자 통한 자금조달 6조1천억… 3년만에 최대

22일 한국예탁결제원 및 NICE피앤아이 등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에서 유.무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 규모는 6조1372억원으로 지난 2013년 이후 3년만에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2013년 6조3067억원이었던 유.무상증자 규모는 2014년 4조9376억원으로 감소한뒤 2015년에는 4조3626억원까지 줄어들었다. 그러다 지난해 들어 전년대비 1조7746억원이 급증했다.


종류별로는 유상증자가 5조9035억원으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무상증자는 2337억원에 머물렀다.

기업들의 증자를 통한 자금조달 규모가 급증한 것은 지난해 회사채 시장이 전반적인 침체를 겪은데 따른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미국 금리인상 리스크에 조선, 해운 등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기업 신용등급 변동성이 심화됐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증자를 통한 자금조달이 그 자리를 대체했다는 것이다. 시장 환경이 좋지 않은데 회사채 발행에 나섰다가 대규모 미달이 발생할 경우에는 오히려 경영에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회사채 발행규모는 35조1127억원으로 전년(44조9299억원)에 비해 9조8127억원이 줄어들었다.

여기에 실적이 부진하거나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이 재무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증자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회사채 시장은 대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전반적인 침체를 겪었다"면서 "회사채 시장 특성상 1월에 발행규모가 증가하는 연초효과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채 우량등급 위주 쏠림 우려

하지만 향후 시장 상황은 녹록지 않다는 지적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국내 정치적 이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우량등급의 회사채 발행은 지속되는 반면 비우량 등급의 발행은 줄어드는 양극화 현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올해 들어 전날까지 회사채 발행액 6030억원 가운데 AA+ 이상의 우량등급이 5300억원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A+이하의 비우량등급에서 발행된 규모는 730억원에 그치고 있다. 최근 현대제철(AA)과 LG유플러스(AA)가 실시한 회사채 수요예측에는 1조원이 넘는 뭉칫돈이 몰리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흥행에 자신감을 갖고 있는 우량등급으로의 쏠림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A 이하 우량등급의 경우 개별 기업별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