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해외서도 '中 사드 보복' 규탄 목소리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3.24 17:58

수정 2017.03.24 17:58

美의회 '사드 보복 중단' 초당적 결의안 발의
중국내서도 "국익 해칠 부메랑" 자성론 꿈틀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한국을 겨냥한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에 대한 안티 여론이 확산될 조짐이다. 미국과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정치적 이슈인 사드를 빌미로 진행되는 중국의 경제적 보복행위에 대한 우려와 경고의 메시지가 잇따르기 시작했다. 중국내에서도 무차별한 사드보복 행위가 한·중 간 상호협력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자성론이 꿈틀대고 있다.

■미 의회 "中 사드보복 즉각 중단"

미 의회는 23일(현지시간) 사드배치 저지를 위한 중국 정부의 '외교적 협박'(diplomatic intimidation)과 '경제적 압박'(economic coercion)을 즉각 중단하라는 내용을 담은 결의안을 발의했다.

미국 공화당 소속 테드 요호(플로리다) 하원 외교위 아태소위원장은 이날 한반도내 사드배치에 대한 중국의 무차별적인 보복조치를 초당적으로 규탄하는 결의안을 공식 발의했다.

결의안에는 마이크 로저스(공화.인디애나) 하원 군사위 전략군소위원장과 마이크 켈리(공화.펜실베이니아), 제리 코널리(민주.버지니아), 피터 로스캠(공화.일리노이), 아미 베라(민주.캘리포니아), 톰 마리노(공화.펜실베이니아) 하원의원 등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공화당과 민주당이 모두 동참한 초당적 결의안이라는 점에서 미 의회가 중국의 사드보복을 심각한 행위로 인식했다는 시그널로 받아들여진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사설을 통해 중국의 사드보복 행위가 중국의 이익을 오히려 깎아먹는 자해적 행동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FT는 타국을 상대로 국수주의를 분출하는 국가가 오히려 국수주의로 인해 무너진 역사적 사례는 적지 않다면서 중국 정부가 이를 알면서도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매체는 중국 공산당 정부가 기존에도 타국을 겨냥해 반감 정서를 부추기고 상품불매운동을 조종한 행동을 꼬집으면서 이번엔 한국이 뭇매의 대상이 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중국내 '사드보복 무용론, 한·중 관계 복원' 목소리

중국내에서도 한국을 겨냥한 사드보복 행위가 중국의 국익을 장기적으로 악화시키는 부메랑이 될 것이라는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선즈화 중국 화둥사범대 교수가 지난 19일 다롄외국어대학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 강연에서 "북한은 잠재적 적이고 한국은 친구일 수 있다"며 중국의 한반도정책의 허점을 강조한 강연록이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면서 뜨거운 찬반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선 교수는 중국을 둘러싼 주변국들이 겉으로는 우호적이지만 내심 중국에 비우호적인 상황에서 사드갈등을 통해 한·중 관계를 악화시킨 것은 중국의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북한과 한국 가운데 누가 중국의 적이고 친구인지 분간하는 게 중요해졌다는 논점도 제공했다. 선 교수는 "표면적으로 북한.중국은 동맹관계이고 미국.일본은 한국의 대북제재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십년간 투쟁의 결과와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미 상황은 근본적 변화를 겪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중국의 잠재적 적국이고 한국은 중국의 가능한 친구"라고 강조했다.

선 교수는 한국이 중국의 친구가 되는 이유에 대해 한·중 수교 후 중국과 한·미 간 냉전상태가 종료되고 역사·문화적 교류를 바탕으로 경제.무역의 상호보완성이 심화됐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경제 외적으로 전략안보 측면에서 한국이 중국에 위협이 되느냐인데 진정으로 중국에 위협이 되는 것은 미국과 일본일 뿐 한국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 교수는 "나는 현재 중국의 사드 문제 대응에 매우 반감을 갖고 있다. 대체 누가 이런 아이디어(사드보복)를 냈는지 모르겠다"면서 "중국의 이런 행동은 한국의 상심한 여론을 돌아서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홍콩 영자일간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도 "한국의 대중국 수출 가운데 소비재 비율이 5%에 불과해 보이콧 운동의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사드보복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jjack3@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