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세월호 참사 교훈 되새겨야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4.13 17:18

수정 2017.04.13 17:18

[기자수첩] 세월호 참사 교훈 되새겨야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은 왔지만 봄 같지 않다. 요즘 한국 상황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고사성어다. '최순실 게이트'로 대표되는 '국정농단'과 '대통령 탄핵' 등 유난히 길게 느껴지던 겨울을 지나 봄이 왔다. 하지만 '경기불황'과 '고용한파' 등으로 인해 국민들이 느끼는 실제 체감온도는 그렇지 못한 듯하다.

오는 16일 세월호 참사 3주기를 앞두고 있는 요즘 더욱 그렇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476명의 승객을 태우고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는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이 사고로 단원고 학생 250명 등 총 304명이 숨졌다. 이 중 미수습자 9명은 참사 발생 3년여가 흐른 지금까지도 행방이 묘연하다. 사고원인조차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참사의 후유증을 앓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결국 국정농단을 일삼은 '최순실 게이트'의 동조자로 전락, 파면됐다. 현재는 검찰의 구속수사를 받고 있다. 되돌아보면 세월호 참사는 무능한 박근혜정부를 대변하는 증거였던 셈이다.

이런 세월호가 방치되다시피 하다 마침내 지난 11일 인양됐다. 인천항을 출항한 지 1091일 만이고, 2015년 8월 7일 인양작업에 착수한 지 613일 만이다. 세월호 인양 성공이 갖는 의미는 크다.

세월호 참사 후 국가 안전시스템에 전반적인 손질이 있었지만 사고원인 규명 등 후속조치가 제대로 되지 않다 보니 논란은 3년여간 이어졌다.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로 인한 '국민 피로감'도 컸다. 여기에는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가 한몫했다. 이번 인양 성공은 후속조치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는 초석이 됐다. 향후 미수습자 수습, 사고원인 조사 등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대선 이후 들어설 차기 정부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점 역시 긍정적이다. 그동안 세월호는 정치.경제적으로 부담이 컸다. 원인 규명 등 미진했던 후속조치는 박근혜정부 내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박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의 행적은 대통령 탄핵을 이끈 촛불집회의 이유이기도 했다.


곧 있으면 세월호 참사 3주기다. 희생자 추모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뿌리깊게 박혀 있는 '안전불감증'에 대해 다시 한번 되새기는 계기가 돼야 한다.
두번 다시 이런 후진국형 인재(人災)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적 차원이 인식 전환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