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통일교육, 미래를 여는 문

박소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5.07 17:09

수정 2017.05.07 17:09

[차관칼럼] 통일교육, 미래를 여는 문

독일이 성공적인 통일과 통합을 이룬 데에는 교육의 힘이 컸다. 1976년 서독의 정치인, 지식인, 교육자 등은 소도시 보이텔스바흐에 모여 치열한 토론 끝에 교육에 관한 중요한 합의를 이끌어 낸다. 강압적 교화나 주입식 교육을 금지하고 논쟁성을 유지하는 수업을 강화할 것, 학생 스스로 시민으로서의 책임감과 역량을 기르는 데 교육의 주안점을 둘 것. 바로 보이텔스바흐협약(Beutelsbacher Konsens)이다. 1970~1980년대 서독 시민사회의 성장을 가져왔고 1990년 독일의 통일에도 크게 기여했다. 뿐만 아니라 통일 후에도 통합을 촉진하고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교육철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통일교육에 기울여 온 노력도 독일 못지않다.
70년이 넘는 분단 기간에도 통일의 의지와 열망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국민과 정부 모두 통일교육에 소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분단 직후 통일교육은 적대적 대북관계에 따른 반공 위주의 교육이었다. 이후 1972년 5월 1일 통일교육원의 전신인 통일연수소가 창설되면서 본격적인 통일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고 한동안 반공, 안보 교육에 비중을 두다가 점차 민족동질성 회복과 미래지향적 통일교육으로 발전해왔다. 최근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미래세대를 위한 통일교육이다.

초.중.고교생, 그리고 2030 청년세대를 위한 통일교육은 그 전 세대와는 다르다. 이들은 통일이 자신의 삶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의문을 갖는다. 많은 비용을 감수하고라도 통일을 꼭 해야만 하는 것인지 묻기도 한다. 우리와 모든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북한이라는 존재를 통일의 동반자로 받아들이는 것조차도 이들에게는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젊은이들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통일 미래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정책 과제가 되었다. 다양한 가치관과 경험, 문화적 배경 속에 성장한 젊은이들로 하여금 통일이 공허한 구호가 아니라 공동체의 과업이자 개인의 미래와도 직결된 명제임을 깨닫게 하려면 참여와 체험, 토론이 필수적이다.

청소년들의 통일 감수성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철학, 정치, 역사, 인문학, 경제, 문화예술 등 여러 분야의 방대한 지식과 협조가 필요하다. 현재 통일교육은 각계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미래세대가 통일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통일미래를 설계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다. 통일 문제에 대해 폭넓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통일시대와 연계하여 진로를 모색해보는 지식정보형 프로그램도 있고, 분단과 교류의 현장을 방문하여 통일의 의지를 북돋우는 현장탐방형 프로그램도 있다. 문화와 예술, 놀이와 창작을 통해 통일의 꿈과 희망을 키워나가는 창의체험형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제5회 통일교육주간이 오는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진행된다. 통일에 대한 국민적 의지를 모으고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통일의 비전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통일부와 교육부가 공동으로 운영한다. 토론, 글쓰기, 특강, 놀이와 축제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이 망라돼 있다.
이 기간 전국 일선 학교에서는 통일을 주제로 수업을 하고 각 지역 통일교육센터와 통일관에서도 시민들과 함께하는 각양각색의 공개강좌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대학생 통일한국 모의국무회의나 통일리더캠프, 소감문 공모전 같은 특별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우리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통일 미래를 탐색하는 기회로 삼아도 좋을 것이다.

김형석 통일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