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주간증시전망] 대외정치 불안에도 상승 추세… 단기조정 그칠듯

강재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5.21 19:02

수정 2017.05.21 19:02

브라질 대통령 탄핵 우려 美 트럼프도 탄핵론 확산
시장 조정국면 진입 전망.. 전문가 "조정시 매수 기회"
[주간증시전망] 대외정치 불안에도 상승 추세… 단기조정 그칠듯

[주간증시전망] 대외정치 불안에도 상승 추세… 단기조정 그칠듯

이번주 국내 증시는 대외 정치 이슈로 변동성 확대에 따른 숨고르기 장세가 예상되고 있다. 다만 국내 증시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고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 탓에 단기조정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가 조정시 매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21일 국내 주요 증권사가 내놓은 증시 전망을 보면 이번주 코스피 예상범위는 2230~2320선이다. 2300선 돌파를 재 시도하고, 조정을 받더라도 2250선 언저리에서 지지선을 형성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지난주(15~19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0.11%(2.46포인트) 올랐다.
16일 2295.33까지 오르며 2300선을 압박했지만 이내 주춤하며 한주간 소폭 상승에 그쳤다.

외국인은 2130억원 순매수하며 쇼핑을 이어갔지만 기관이 2122억원 어치를 내다 팔았다.

■대외 정치 불안 '부담'

우선 대외 정치 리스크가 국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미국 정치 리스크는 악재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해임하는 바람에 커진 논란은 최근 대통령 탄핵론으로 번졌다. 설상가상 브라질에서도 지우마 호세프 전 대통령이 탄핵으로 물러난 지 1년 만에 후임 미셰우 테메르 대통령도 사퇴 압력을 받고 있다.

브라질 탄핵 이슈는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브라질은 그동안 변동성 우려에도 현 정부 친(親)시장정책이 기대요인으로 작용했다.

테메르 대통령이 물러날 경우 이 같은 기대감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브라질에 유입됐던 유동자금의 급격한 유출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과 브라질의 대통령 탄핵 우려에서 비롯된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은 투자심리를 일정 부분 제약할 것"이라며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활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김유겸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특별검사 수사가 전격 결정되면서 미국 정치 리스크가 부각됐다"면서 "미국 의회 구성상 대통령 탄핵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 증시를 견인해 온 재정지출 및 인프라투자 확대 공약 이행에 대한 의구심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은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단기조정에 그칠 것…'조정시 매수'

대외 정치 불안이 시장에 부담을 줄 순 있지만 장기적인 상승국면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용구 연구원은 "한국 수출경기 회복과 내수경기 저점통과 기대, 올해 기업실적 개선에 대한 긍정론, 제이노믹스 정책 기대, 신흥국으로의 자금 이동 등 중장기적으로 국내증시 상승을 암시하는 긍정적인 요인은 변함없다"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단기 투자심리를 제약할 수는 있겠지만, 펀더멘털을 와해할 요인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코스피는 단기적으로 미국 정치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하지만 이번 이슈가 글로벌 경기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트럼프 예산안 기대감을 축소시키는 수준에 그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유동성 축소 시점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윤서 KTB투자증권 연구원도 "트럼프 탄핵 이슈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위축시켜 국내 증시의 가격조정 압력이 높아질 수 있지만, 기존 달러화 약세와 국제유가 반등 흐름을 강화해 국내 증시 유동성과 실적 모멘텀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5일 FOMC 5월 정기회의 회의록이 공개된다.
이 회의록에서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시기에 대한 언급이 나올 경우 미국 통화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

kjw@fnnews.com 강재웅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