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AI 토착화 우려 … 연중 방역체계 구축을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6.06 16:47

수정 2017.06.06 16:47

철새 떠난 여름철에 발생해.. 농장주 미신고로 사태 악화
정부의 조류인플루엔자(AI) 종식 선언 하루 만에 방역망이 또 뚫렸다. 전북 군산의 오골계 농장에서 시작돼 전국으로 번진 AI가 가금류에 치명적인 고병원성으로 5일 확진됐다. 정부는 즉시 이낙연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방역대책본부를 꾸려 AI 확산 차단에 나섰다.

그러나 이미 시기를 놓쳤다. 첫 신고는 지난 2일 제주 애월읍 농가로부터 들어왔다. 이 농가에서는 지난달 27일부터 오골계 집단 폐사가 있었으나 1주일 가까이 신고를 미뤘다.
문제의 오골계를 공급한 전북 군산 농장에서는 지난달 17일부터 폐사가 발생했지만 문제가 불거질 때까지 신고하지 않았다. 군산 농장은 전국에 3600마리 오골계를 공급했으며 이 중 군산.제주.양산.기장.파주.울주 등 6개 지역 8개 농가에서 AI 양성반응이 나왔다.

정부는 AI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높이고 7일 0시부터 24시간 가금류 이동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전국의 모든 가금농가에 대해 주 1회 일제소독을 실시하기로 했다. 당장 시급한 것은 추가 발생을 막는 일이다. 추가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은 같은 오골계를 공급받은 경남 진주, 충남 서천, 전북 전주 등이다. 이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방역이 이뤄져야 한다.

과거의 예를 보면 AI는 초겨울에 철새들이 옮겨와 발병했다가 이듬해 날씨가 더워지면 소멸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AI바이러스는 고온과 습도에 약한 특성을 지녔다. 그러나 이번에는 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 여름철에 발생했다. 지난겨울 유입된 AI 바이러스가 국내 환경에 적응해 토착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우리나라도 중국이나 동남아처럼 AI 상시발생국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I는 초동 단계에서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AI는 정부가 초기 대응에 실패하는 바람에 3800만마리 살처분과 1조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초기 대응이 이뤄지려면 농장주가 제때 신고해야 한다. 가금류 농장주에 대한 신고 교육을 강화하고 미신고 시 강력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정부도 신고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가금류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백신 개발.보급, 전문인력 양성 등에 주력해야 한다.
특히 AI가 이미 토착화했을 가능성에 대비해 연중 방역체계 구축을 서두르기 바란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