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문재인식 외교 안정감 돋보였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09 17:20

수정 2017.07.09 17:20

4강 채널 복원한 의미 커.. 사드·위안부 해결이 숙제
문재인 대통령이 국제 외교무대에 데뷔했다. 독일 함부르크에서 7~8일(현지시간) 이틀간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무대였다. 지난달 말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은 양자회담이었다. 이번엔 다자회담이다. 문 대통령은 짧은 기간에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인도, 호주 지도자들을 잇따라 만났다. 한.미.일 3자 회담은 따로 가졌다.
문 대통령은 외교 쪽 경력이 얕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세계 주요국 정상들과 친화력 있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것만으로도 이번 독일 방문은 성과가 크다.

특히 한.중, 한.일 정상회담이 눈에 띈다. 한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를 배치하기로 한 뒤 한.중 관계는 차가워졌다. 정상 간 만남도 끊겼다. 비록 제3국에서 짧은 만남이긴 하지만 문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주석과 자리를 같이 한 것은 의미가 있다. 문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난 것도 마찬가지다. 지난 몇 년 간 위안부 해법을 둘러싼 이견으로 두 나라 관계는 꽉 막혔다. 정상끼리 얼굴을 마주보기도 힘들었다. 문 대통령이 여기에 숨통을 튼 것은 잘한 일이다. 나아가 한.중.일 3국 모임도 제자리를 찾아갈 토대를 마련했다.

다만 외교는 겉과 속이 사뭇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카메라 플래시가 펑펑 터지는 가운데 악수를 나누긴 했지만 이견은 여전했다. 시진핑 주석은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을 때도 같은 말을 했다. 이는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이 한동안 지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문 대통령은 머잖아 열릴 본격적인 양자 정상회담에서 이 숙제를 풀어야 한다.

대일 관계도 마찬가지다. 정상 간 소통 채널은 복원했지만 위안부 갈등은 평행선을 달린다. 분명한 것은 한.일 두 나라가 언제까지 과거에 얽매여 있을 수는 없다는 점이다. 북한 도발에 대처하는 한.미.일 3국 공조에도 마이너스다. 이 역시 문 대통령이 귀국 후에 풀어야 할 숙제다.

외교는 화려한 수사 뒤에 국익이 충돌하는 곳이다. G20 공동성명을 보라. 지구 온난화를 줄일 파리기후협약을 지지한다면서 동시에 "미국의 탈퇴 결정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보호무역과 맞서 싸우겠다고 했지만 동시에 "적법한 무역보호수단의 역할을 인식한다"고 적었다.
이는 기후협약에서 이탈하고 보호무역에 집착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견해를 절충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함부르크에서 안정감이 돋보이는 외교 역량을 선보였다.
야당 일각에서 성과가 빈약하다는 비판을 내놨지만 현실적으로 G20과 같은 다자외교에서 또렷한 성과를 거두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약하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