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월드리포트

[월드리포트] 中 돌풍 공유자전거, 한국서도 통할까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21 17:17

수정 2017.07.21 17:17

[월드리포트] 中 돌풍 공유자전거, 한국서도 통할까

중국의 4차 산업혁명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공유자전거 서비스가 한국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중국에서는 공유자전거가 광풍을 일으키며 중국인들의 생활저변에 자리잡았다. 그러나 같은 제품이나 서비스라도 시장 특성에 따라 성과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에서 똑같이 성공하리란 보장이 없다. 중국과 달리 한국은 도로규제가 깐깐하고 좁은 도로와 인도 구조 및 도로 높낮이가 상대적으로 심한 편이다. 공유자전거 여건이 비우호적이다.

이 같은 환경적·제도적 리스크를 극복하고 한국에 중국의 공유자전거 민간 서비스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중국의 중견 자전거생산업체인 먼룹 바이시클로와 300만달러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한 국내 스타트업 매스아시아의 경영전략을 들여다봤다. 중국 자전거제조사가 전략적투자자로 나선 가운데 매스아시아는 올 하반기 국내 최초로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공유자전거 사업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 업체는 'S 바이크'라는 '브랜드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매스아시아의 한완기 대표는 국내 민간 공유자전거 서비스의 성공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우선 중국 내 공유자전거 시장이 춘추전국시대를 맞고 있지만 무단정차에 따른 시민들의 불만과 자전거 훼손행위가 사회적 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한국 시민들의 공공질서에 대한 의식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거치대 없는 자전거 주차 관행이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따릉이의 경우 거치대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어 이 같은 문제는 없다.

이에 대해 한 대표는 "한국의 시민의식이 뛰어나기 때문에 무단정차나 자전거 훼손행위가 크지 않을 것으로 낙관한다"면서도 주정차 문제를 시스템적으로 접근할 방안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물리적인 주차거치대 개념을 넘어서 가상 전자울타리를 구축하는 관리시스템이다.

서울시 외에도 국내 일부 지자체에선 이미 거치대 중심의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도입한 상태다. 지자체와의 경쟁을 뚫어내는 동시에 전국적 단위의 표준화된 서비스 도입을 위해서도 정부기관 및 지자체와의 협력도 필수여서 서비스 확산을 위해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

그러나 민간 공유자전거의 경쟁력이 관 주도 서비스보다 훨씬 낫다는 관측이 나온다. 통상 지자체가 3000대의 공유자전거를 운영할 경우 초기투자비용만 40억∼50억원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게다가 해마다 운영비만 10억원 정도 투입돼야 한다. 시민들의 이동편의를 위해 지자체에서 매해 50억원 이상의 세금과 공무원 및 관리차량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민간업체가 이 사업을 주도할 경우 정부와 지자체가 세금 한 푼 들이지 않고도 시민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셈이다.

민간업체가 시장에 진출할 때 초기비용 부담 탓에 높은 가격을 책정할 우려도 있다. 민간고속도로 통행료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공공에서 운영 중인 공유자전거 서비스 가격도 만만치 않다. 서울시 따릉이의 경우 1시간 사용에 1000원을 내야 한다. 매스아시아의 S 바이크는 보증금 5만원에 30분당 300원의 가격을 책정할 계획이다.

경영전략이 뛰어나더라도 소비시장이 작으면 무용지물이다. 중국의 경우 자전거가 일반인들의 문화처럼 밀착돼 있어 서비스 시장이 안정적이다. 이에 대해 그는 "한국 내 자전거 인구가 1200만명에 달하며 자전거 출퇴근족이 60만명이 넘는다"면서 자전거를 애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어 충분한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목할 점은 한국시장 내 서비스 성공에 이어 해외시장 진출까지 계획 중이라는 점이다. 공유자전거 강대국이 된 중국에서 서비스를 들여와 한국형 모델로 탈바꿈시킨 뒤 해외시장까지 도전하다는 발상이 현실화되기까진 난제가 많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마인드를 기업가정신이라고 부른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베이징 특파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