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PB상품 시장 확대..성장 과실은 유통업체에 편중

이병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8.16 13:29

수정 2017.08.16 13:29

대형 유통업체들의 영향력 증대와 유통업계의 치열한 경쟁으로 기업형 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상품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다만 그 과실은 유통업체가 다 가져간다는 지적이 나왔다. 하청 제조업체들의 이익은 변함이 없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진국 KDI 연구위원이 16일 발표한 보고서 'PB상품 전성시대, 성장의 과실은 누구에게로 갔나'에 따르면 우리나라 PB시장은 2008년 3조 6000억원에서 2013년 9조 3000억원까지 성장했다. PB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주역은 대형마트였다. 최근에는 편의점들이 PB상품을 대거 선보이며 2008~2013년 기간 동안 PB 매출액을 16배나 키웠고 매출비중을 28.8%까지 끌어올렸다.

이 연구위원은 제조업체가 만든 상품의 유통에서 기업형 유통업태(대형마트 등)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으며 이는 유통기업의 영향력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유통기업 간 경쟁 심화는 PB출시의 또 다른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PB는 기업형 유통업태를 중심으로 한 시장집중화와 그들 간의 경쟁심화라는 구조 변화 속에서 유통기업이 고안해 낸 이윤 극대화 해법인 셈"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제조업체들이 PB상품 확대로 큰 수익은 창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상공기업의 경우 PB 매출 비중이 증가해 전체 매출 역시 덩달아 늘었지만 전체 영업이익과 PB영업이익에서는 유의한 성장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이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영업이익률이 줄고 유통마진율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 연구위원은 "PB상품 유형 중 기존 NB(제조업체 브랜드) 상품의 변형 또는 포장 형태만 바꾼 제품인 경우가 70%가 넘었다"며 "결국 이런 형태의 PB는 제조업체의 자기잠식 효과를 유발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결국 대형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에 과도한 비용 떠넘기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게 이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공정거래위원회는 제조원가 제공요구 금지조항의 위반 여부를 꼼꼼이 살피고 대규모 유통업법 위반에 대한 처벌 수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통기업이 납품업체의 제조원가 등 경영정보에 접근해 납품 가격 인하를 요구할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제조업체들의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해 이들의 협상력도 높여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