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케이뱅크 낮은 연체율, 빅데이터 덕봤다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8.21 17:17

수정 2017.08.21 17:17

통신료 납부실적 등 활용.. 관련 규제 과감히 풀어야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의 연체율 관리가 기대 이상이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총대출 잔액은 6354억원(14일 기준)이며, 연체율은 0.007%로 나타났다. 특히 중금리 대출 연체율은 0.028%로 비슷한 상품의 일반은행 연체율 0.43%에 비해 현저히 낮다. 2년 전 한 시중은행이 출범시킨 국내 첫 모바일 중금리 경쟁상품은 시작하자마자 연체율이 3% 수준으로 치솟았다.

케이뱅크의 낮은 연체율이 돋보이는 점은 하나 더 있다. 주부, 학생 등 금융소외계층 대출 비중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상태에서 이룬 결과이기 때문이다.
케이뱅크의 대출건수 절반은 중금리 대출이고, 이 가운데 20%가 금융소외계층 이용자다. 이들은 그동안 제도권 금융에서 돈을 빌리기도 힘들뿐더러 빌리더라도 20% 안팎의 고금리를 부담해왔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주 케이뱅크에 대해 금융소외계층과 금리 양극화를 해소하는 '포용적 금융'의 모범 사례라고 치켜세운 이유다.

걸음마 수준인 케이뱅크가 연체 관리에서 성과를 낸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우선 신용평가사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체 모델을 개발해 단점을 보완했다. 주요 주주사인 KT.비씨카드의 통신요금 납부실적과 신용카드 결제정보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것이다. 현재 카카오뱅크가 보증보험에 보험료를 내고 대출 리스크를 줄이는 데 반해 케이뱅크가 리스크를 모두 떠안는 구조가 가능한 이유다.

적극적인 신용위험관리도 한몫했다. 연체 관리팀을 운영하는 한편 대출 이후 3개월마다 신용을 재평가해 추가 대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스스로 신용을 관리하도록 만든 것이다.

물론 아직 출범 초기단계라 이 같은 실적이 지속될 것이라고 단정하긴 어렵다. 하지만 케이뱅크가 4차 산업혁명의 주역인 핀테크(금융+기술)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준 것만큼은 분명하다. 4차 산업혁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이종산업 간 합종연횡을 통해 새로운 산업을 만드는 것이다.
KT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 프로젝트가 지난달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채택된 게 대표적이다. 정부는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 조만간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출범시킨다고 한다.
하지만 은산분리 등 케케묵은 규제를 쥐고 있는 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쉽게 오지 않을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