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 창출’ ‘국민생활 개선’ 실현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8.22 17:53

수정 2017.08.22 17:53

文대통령, 과기정통부.방통위 찾아 핵심정책토의
4차산업혁명 대책 연내 마련 AI.뇌과학 등 기초R&D 확대
빅데이터로 삶의 질도 개선.. 전염병 막고 교육에도 활용
4차산업혁명으로 ‘일자리 창출’ ‘국민생활 개선’ 실현

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핵심인 4차 산업혁명을 고리로 '일자리 창출'과 '국민생활 개선'에 나선다. 인공지능(AI)과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신기술 기반 융합산업을 이끌 인재를 키우는 동시에 국방과 교육 등 일상 속에서 신기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내용을 종합적으로 담은 범정부 차원의 '4차 산업혁명 종합대책'을 연내 완성해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조력자(enabler) 역할을 하면서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고삐를 죄겠다는 의지도 내놨다.

■AI 등 4차 산업혁명에 방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핵심정책토의'에서 '4차 산업혁명 기반 구축으로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 방안 등을 보고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첫 부처 업무보고인 이날 토의에는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과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을 비롯해 청와대 정책실장 및 수석보좌관, 더불어민주당과 관계부처 공무원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유 과기정통부 장관은 "소프트웨어(SW) 생태계 혁신과 대규모 시설투자에 대한 일정조정, 유사.중복사업 통폐합 등 과학기술 및 ICT 분야 핵심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분야별 업무혁신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며 "창의적.효과적인 업무방식으로 핵심정책을 완수해 연구자와 국민의 지지를 받는 과기정통부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과 뇌과학 등 기초.원천기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3.4분기 내 신설할 예정이다. 또 범정부 차원의 '4차 산업혁명 종합대책'도 연말까지 수립할 방침이다.

이때 중장기적 원천기술 확보 분야에 대한 R&D 투자는 정부가 주도하고, 단기 상용화 분야는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규제개선과 세제 등 간접지원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단순.반복 업무가 줄어들 것이란 관측에 따라 창의성과 전문성 등 새로운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한 중장기적 '일자리 변화 예측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동시에 기존 근로자의 재교육 등도 지원해 '일자리 미스매칭(불일치)'을 최소화하는 노력도 병행한다.

■빅데이터로 생활 혁신 이룬다

정부는 또 '생활 밀착형 4차 산업혁명'을 기치로 내걸고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중심으로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이를테면 빅데이터를 활용해 조류인플루엔자의 전파경로를 예측하고, 교통사고 위험이 큰 지역과 시간을 예측해 대처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또 디지털 교육혁신을 위해 학교 내 무선 네트워크를 확충하고, 실감형 교육 콘텐츠도 확대할 예정이다.

연구자 중심의 자율적.창의적 R&D 지원체계에도 빅데이터가 활용된다. 정부는 국가 차원의 관리체계 없이 방치됐던 R&D 과정에서 발생한 유의미한 중간 산출물들은 빅데이터로 수집, 분석할 계획이다. 향후 이 정보를 적극 개방해 연구자와 기업체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10월까지 정책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게 과기정통부 계획이다.


또 역량 있는 연구자가 연구비 단절 없이 자율적으로 창의적인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자유공모 예산을 2배가량 늘려 현재 23% 수준인 연구비 수혜율을 오는 2022년 50%까지 확대키로 했다. 이때 'R&D 예비타당성 조사' 권한은 현행 기획재정부에서 과기정통부로 이관된다.
또한 기초.원천 R&D를 과기정통부가 통합 기획.수행하고, 특정 산업수요 기반 R&D는 소관 부처가 수행하는 명확한 역할 분담이 이뤄질 전망이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박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