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文대통령 "지금은 대북 압박 외 다른 방법 없어"

김은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9.22 14:53

수정 2017.09.22 14:53

귀국 앞서 기내간담회 열어
"창의적 해법조차 긴장 완화돼야 가능"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서울·뉴욕(미국)=김은희 조은효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지금은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압박하는 것 외에 달리 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JFK공항에서 귀국길에 오르기 앞서 기내간담회를 열고 리처드 하스 미국외교협회(CFR) 회장이 전날 북핵 문제에 대한 '창의적 외교 해법'을 주문한 것과 관련, "창의적 해법조차도 긴장이 조금 완화되면서 한숨 돌려야 가능하다. 지금처럼 잔뜩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는 선뜻 다른 해법을 모색하기도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하스 회장은 지난 20일 문 대통령을 만나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이 진전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창의적 구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하스 회장의 주장에는 원론적으로 동의하지만 당장은 최대한도의 제재와 압박을 통해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이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도발하고 그에 대해 (국제사회가) 제재하고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해법이 필요한 게 아니냐는 원론적, 일반적인 얘기를 나눴다"면서 "이 고비를 넘어서고 북한이 도발을 중단한다면 그때는 좀 더 근본적인 해법이 모색될 수 있지 않을까"라고 했다. 하스 회장과의 만남에서도 구체적인 해법이 거론되진 않았다고 문 대통령은 전했다.

앞서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유엔의 대화 중재 역할을 당부한 것과 관련해선 "근원적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에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며 "양자회담, 3자·4자·6자 회담 등 어느 대화든 굳이 '이것이 옳다, 저것이 옳다'고 말할 문제는 아니다. 어떤 형태의 대화든 모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방미 첫날인 18일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 북핵 문제의 대화 중재 역할을 당부한 데 이어 이날 기조연설에서도 '평화'를 32차례 언급하며 대화에 무게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문 대통령은 "동북아 전체의 다자주의에 입각한 집단적 안보협력, 다자 안보협력을 말하는 것은 보다 근원적 상태(해법)"라며 "지금처럼 남북이 대치하고 그에 따라 동북아 전체가 대치되는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EU(유럽연합)처럼 동북아 전체가 경제적인 공동체가 되고 또 다자적인 안보협력체가 되게 가야 안보 문제가 근원적·항구적으로 평화체제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좀 더 원대한, 우리가 꿈꾸는 미래'라고 문 대통령은 표현했다.

문 대통령은 '방미 전 유엔 총회로 오는 발걸음이 무겁다고 했는데 지금은 가벼워졌느냐'는 질문에 "아직 해결된 것은 아니고 단기에 해결될 문제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면서도 "해결에 들어가는 과정이고 전체적으로는 국제적 공조가 잘 되고 있으며 우리 입장에 대해 (국제사회가) 다 지지와 협력을 당부하는 상황이어서 대응은 잘 돼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제재에도 도발하고 더 강도 높게 제재하는 식으로 계속 이어져선 안 된다"며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 그게 큰 과제"라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홍보 목적도 있고 북핵 문제도 있고 해서 (왔는데) 잘 왔던 것 같다"면서 유엔 총회를 처음 방문한 소감도 전했다. 역대 대통령 중 취임 첫해 유엔 총회를 찾은 것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다.


"전임 대통령은 모두 취임 첫해에 유엔 총회에 오지 않고 보통 2~3년차에 갔다"고 언급한 문 대통령은 "따로 말을 더 보태는 게 별로 안 바람직할 것 같다"면서 "여러모로 성과도 있었다"고 자평했다.

ehkim@fnnews.com 김은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