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데스크 칼럼] '넥스트 차이나' 인도 전략과 정상외교

김규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0.01 13:55

수정 2017.10.01 13:55

[데스크 칼럼] '넥스트 차이나' 인도 전략과 정상외교

최근 파이낸셜뉴스와 KOTRA, 인도상공회의소(FICCI)가 공동주관한 '한-인도 경제협력 포럼' 취재를 위해 방문한 인도 수도 뉴델리는 활기 찼다. 인도 방문은 처음이었지만 수차례 인도를 경험한 동료들은 변화를 실감했다고 한다. 거리도 많이 깨끗해졌고 거지들도 확연히 준 것을 느꼈다는 것이다. 곳곳이 건설현장이었고 차량도 늘어 교통체증은 심해졌다.

세계은행(WB)은 올해부터 2019년까지 인도 경제가 연평균 7%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브릭스(BRICs) 국가 중 가장 높다.
세계 주요국 중 '고령화'로 골머리를 앓지 않는 나라가 드물지만 인도는 예외다. 경제 성장세가 가파르면서 중산층이 매년 10만명씩 늘어나 2억명에 육박한다는 분석도 있다. 인도를 짓눌러왔던 정정불안도 해소 조짐이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지난 3월 지방선거에서도 압승을 거두면서 '메이크 인 인디아' 등 제조업 육성책과 도시화, 인프라 투자확대 등을 핵심으로 한 '모디노믹스'도 탄력을 받고 있다.

'넥스트 차이나' 인도가 급부상하고 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놓고 중국과 갈등을 겪고 있는 한국으로선 인도는 경제적으로 기회요인이다. 대(對)중국 의존도 축소와 새로운 유망시장 개척이라는 두 가지 명제의 교집합이다. 한국 경제의 중국의존도는 높다. 중국의 사드보복은 현재까지는 한류와 화장품, 중국내 롯데유통점, 한국관광 등 최종소비재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향후 중간재로 확대됐을 때 우리 경제 전반은 결정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제2, 3의 '사드 사태' 대비책으로도 '넥스트 차이나' 전략은 시급한 것이다.

기업들의 인도에 대한 관심도는 이미 급증세다. 투자확대 단계다. 현재 인도시장에서 삼성전자 휴대폰이 1위, LG전자 가전이 1위, 현대차가 2위이지만 '모디노믹스' '중산층 확대 및 소비구조 변화'에 맞춰 새로운 기회요인 마련에 나섰다. 실제 뉴델리에서 만난 KOTRA 뉴델리무역관, 국내 기업 현지법인 관계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올 들어 업무가 30% 이상 늘었다"고 했다.

문재인정부의 통상전략도 '넥스트 차이나' 인도에 맞춰져 있다. 한.중.일 등 동북아를 벗어나 북방과 남방 지역을 번영의 축으로 삼기 위한 신북방.남방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북방 정책은 문재인 대통령의 러시아 동방경제포럼 참석으로 윤곽을 드러냈고 남방정책은 인도, 아세안 국가와 협력 강화가 핵심이다.

다만 '넥스트 차이나' 인도와 협력에 가속도를 내려면 전제돼야 할 것이 있다. 경제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는 유망시장이면서 인구대국, 군사강국인 인도를 주시하고 있는 곳은 한국만이 아니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뿐만 아니라 최근 국경분쟁 일보직전까지갔던 중국까지도 가까이 두고 싶어하는 국가가 인도다.

해법은 일본 모델 벤치마킹이다. 일본 아베 총리는 모디 총리와 유엔 등 다자정상회담 자리에서 별도 회담을 한 것까지 포함하면 3년여 동안 총 10여차례나 정상회담을 했다. 특별한 의제가 없더라도 매년 양국 정상은 정례적으로 만난 것이다.
'밀월관계'다. 인도를 '넥스트 차이나' 전략의 핵심국가로 본다면 한·인도 정상회담의 연례화, 정례화를 하루빨리 서둘러야 한다.
한국 기업의 역량만으론 경쟁이 격화되는 인도시장에서 한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은 한계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경제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