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4회 부산글로벌금융포럼] "조선·해운업 은행 의존도 낮추고 자금조달 창구 늘려야"

강수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0.25 19:43

수정 2017.10.25 19:47

세션1. 조선·해운산업 미래와 선박금융 역할
자금조달 시장 다양화
기존 방식 은행 의존도 높아 주식 등 자본시장 활용해야.. 자본압박 상황때 힘 강해져
해양산업과 금융의 만남
금융에선 해양 실무 모르고 산업쪽은 금융 잘 알지못해.. 해양진흥공사가 ‘가교’ 역할
[제4회 부산글로벌금융포럼] "조선·해운업 은행 의존도 낮추고 자금조달 창구 늘려야"

25일 해운대 부산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된 '제4회 부산글로벌금융포럼' 행사 참석자들이 개막식에 앞서 VIP 티타임을 가진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1. 김태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정책연구실장 2. 김영재 부산대 교수 3. 이유태 부경대 교수 4. 강민철 무학 사장 5. 권성철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6. 서병수 부산광역시장 7. 박세춘 금융감독원 부원장 8. 김병추 부산경제진흥원 원장 9. 전준형 ABN암로은행 아시아 선박금융팀 전무이사 10. 로이 알록 부산외대 교수 겸 부산국제교류재단 사무총장 11. 박영호 부산국제도시추진센터장
25일 해운대 부산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된 '제4회 부산글로벌금융포럼' 행사 참석자들이 개막식에 앞서 VIP 티타임을 가진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1. 김태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정책연구실장 2. 김영재 부산대 교수 3. 이유태 부경대 교수 4. 강민철 무학 사장 5. 권성철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6. 서병수 부산광역시장 7. 박세춘 금융감독원 부원장 8. 김병추 부산경제진흥원 원장 9. 전준형 ABN암로은행 아시아 선박금융팀 전무이사 10. 로이 알록 부산외대 교수 겸 부산국제교류재단 사무총장 11. 박영호 부산국제도시추진센터장 12. 박응식 한국금융투자협회 부산지회장 13. 김홍배 동서대 교수 14. 백승진 월간부산 사장 15. 장승록 생명보험협회 영남본부장 16. 곽영철 기술보증기금 상임이사 17. 정민주 BNK금융경영연구소 대표 18. 손광호 KB국민은행 울산혁신도시지점장 19. 함정오 벡스코 사장 20. 신기백 금융감독원 부산지원장 21. 현용석 KDB산업은행 운송사업단장 22. 정우영 법무법인 광장 대표변호사 23. 이기환 한국해양대 교수 24. 임상규 금융감독원 금융중심지지원센터 부산지원장 25. 이원만 금융감독원 부산금융중심지지원센터 센터장 26. 이동해 KDB산업은행 해양금융본부 본부장 사진=서동일 기자

국내 조선.해운산업이 현재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부산이 주도하는 선박금융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부산파이낸셜뉴스가 25일 주최한 제4회 부산글로벌금융포럼의 첫번째 패널토론에서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해양.선박금융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자금조달 시장을 넓혀라

이날 토론에 참석한 패널들은 조선.해운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의 자금조달 방식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권에 치우친 의존도를 낮추고 민간과 자본시장 등으로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좌장으로 나선 이기환 한국해양대 교수는 "해운기업은 은행 등 간접급융에 의존해 왔던 방식을 버리고 주식발행 등을 통해 자본시장을 직접 활용하는 방식 등을 고민해야 한다"며 "자본조달 패턴을 바꾸고 넓혀야 재무적인 스트레스가 왔을 때 견딜 수 있는 힘도 강해진다"고 강조했다.


대부분 달러화로 이루어진 선박금융을 원화와 위안화 등으로 넓혀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현용석 KDB산업은행 운송사업단장은 "그동안 외화에 비해 금리가 높아 취급이 어려웠던 원화 선박금융은 물론 위안화 활용방안도 고민하고 있다"며 "선박금융은 항공기 금융보다 변동성은 심하지만 그만큼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매력을 강조해 시중자금을 끌어들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국민연금, 민간기관, 외국계 금융기관 등 다양한 기관이 경쟁하고 대출은 물론 펀드와 같은 다양한 상품이 활용되는 선박금융시장을 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인수합병(M&A)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김태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정책연구실장은 "그동안 글로벌 해운산업은 M&A를 통해 발달해왔고, 글로벌 원양을 담당하는 정기선사들은 대부분 이런 경험을 했다"며 "국내 원양업계도 글로벌 M&A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해양진흥공사, 역할 고민해야

특히 지속적.체계적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해양.선박금융의 종합기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내년 출범을 앞둔 한국해양진흥공사가 대표적이다.

이원만 금융감독원 부산금융중심지지원센터장은 해양진흥공사가 금융과 해양산업 간의 가교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 센터장은 "금융에선 조선.해양산업의 실무를 잘 알지 못하고 조선산업은 금융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두가지 플랫폼을 하나로 이어줄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이 필요한다"며 "특히 진흥공사는 조선 기자재시장의 허브로 중소기업들이 더불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의 실패사례에 대한 충분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센터장은 "해양진흥공사는 부울경이 처한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며 "한진해운의 파산 사례를 바탕으로 그동안 우리 정부와 부산시는 무엇을 했느냐 돌이켜봐야 하며, 한진해운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공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존 금융센터와의 협업도 강조했다.
이 센터장은 "2009년 정부가 부산을 해양파생산업 특화 중심지로 추진한 이후 8년째 부산국제금융센터가 발전돼 왔으며 이미 4000명에 달하는 전문인력이 근무 중"이라며 "공사의 발전 방향은 부산국제금융센터를 중심으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별취재팀 권병석 최수상 이세경 강수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