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금감원 임원 인사 속빈강정 되나

김현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1.13 17:14

수정 2017.11.13 17:14

[기자수첩] 금감원 임원 인사 속빈강정 되나

금융감독원 임원 인사가 시계제로다. 관료 출신이 금감원 수석부원장에 부적절하다는 기류에 교수냐, 금감원 내부 출신이냐 등 허공에 뜬 얘기만 많아졌다. 은행과 시장 담당 부원장급 유력 인사로 거론됐던 인물들에게는 부담만 가중되는 상황이다.

이제는 아예 은행과 시장 담당 부원장급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인물들 중 수석부원장급을 정하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청와대 내부 알력다툼에 수석부원장 후보로 내세울 사람이 없어지자 부원장급으로 거론된 유력 후보 중에 아무나 앉히자는 것이다. 금융감독 정책의 실무를 담당하는 금감원 인사가 '돌려막기 인사'로 전락하는 모양새다.


이번 금감원 인사는 일부 금감원 임원의 채용비리 혐의가 문제되면서 '쇄신'이라는 키워드로 진행되고 있다. 이례적으로 부원장보 이상 임원들의 전체 교체를 추진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는 정말 쇄신에 어울리는 인사인지에 대한 의구심이다.

부원장급 유력 후보로 거론된 인물 중에서는 금감원 내부 출신도 있다. 퇴직자가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물론 그 영역에서 전문성을 대표하는 인물들이지만 '쇄신'이라는 키워드와 어울릴지 생각해봐야 한다. 무릇 '쇄신'이란 새로운 피를 수혈해 구태의연한 관행을 벗어버리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퇴직자들이 금감원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지는 알 수 없다. 퇴직자들도 친정으로 돌아가 새로운 무엇인가를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을 안게 된다. 그럼에도 퇴직자들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그들의 전문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행동범위를 넓혀줘야 한다. 임원들을 내부규제 강화 등으로 옥죌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가 창출되기는 어렵다. 오히려 임원들이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 아무것도 하지 않게 될 수 있다. 특히 민간 출신이나 교수직 등 새로운 인물을 앉힌다고 쇄신이 되는 것도 아니다. 임원들이 금융감독에 대한 현실성을 알아야 정책이 헤매지 않는다.

금감원 인사가 항상 '현실적인 전문가'로 강조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책임 부담을 안고 실무정책을 추진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자칫 정책이 잘못되면 금융소비자의 피해만 속출한다. 금융회사는 현실성 없는 정책이 나올 경우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번 금감원 인사가 윗선의 알력다툼에 속 빈 강정으로 전락한 나머지 금융소비자 피해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maru13@fnnews.com 김현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