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한국 금융시스템 위험요인 1순위는 가계부채

홍석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1.20 14:06

수정 2017.11.20 14:06

금융전문가 10명 중 4명은 1400조에 달하는 가계부채를 한국 금융시스템의 위험 요인 1순위로 꼽았다. 또한 북한 관련 리스크도 영향력이 큰 리스크로 인식됐다.

한국은행은 10월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한국 금융시스템 5개 리스크 요인 설문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응답자들이 꼽은 1순위 리스크는 가계부채 문제가 35%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28%)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2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3%)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별로 지적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집계한 결과도 비슷했다.
5대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자 중 87%가 가계부채 문제를 꼽았고,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82%),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통화정책 정상화(75%),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56%) 등이 주요 리스크로 평가됐다.

지난 5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해 보면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새로운 주요 리스크로 편입됐다. 또한 가계부채 문제,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응답 비중도 상승했다.

주요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과 영향력에서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1년 이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로 꼽았다. 가계부채 문제와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은 1~3년 사이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로 인식했다.

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응답은 지난 5월 40%에서 47%로 상승했다. '낮다'는 응답률은 4% 수준을 그대로 유지했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에 리스크가 현재화할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률 역시 51%에서 53%로 상승했다. '높다'는 응답 비중은 13%로 이전과 같았다.
1∼3년 사이 금융시스템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 역시 '높다'는 응답 비중이 38%에서 34%로 떨어졌고, 반대로 '낮다'는 15%에서 21%로 상승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