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인터뷰]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 소장 "상가투자, 젊은층 소비패턴 먼저 이해해야"

정상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1.27 17:13

수정 2017.11.27 17:13

접근성.가시성 이제 안 통해.. 시장개척 정신 갖고 투자해야
[인터뷰]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 소장 "상가투자, 젊은층 소비패턴 먼저 이해해야"

"요즘 '그냥 가까운 데 가서 먹자'고 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죠. '유명한 곳, 방송에 나온 거기 가서 먹자'고 하죠. 완전히 달라진 소비행태를 이해하고 인식을 바꾸지 않으면 상가 투자는 실패할 가능성이 큽니다."

10년 넘게 상가를 포함한 수익형 부동산 투자 관련 자료분석과 컨설팅 업무를 하고 있는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 소장(사진)은 24일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최근 들어 SNS 발달로 완전히 달라진 소비패턴이 상가 지형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이 큰 전제는 주택시장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잇따르면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아진 수익형부동산 시장을 이해하는 바탕이 돼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박 소장은 "SNS로 인해 20~30대, 주 수요층이 정보를 얻고 소비하는 과정 자체가 바뀌었다"면서 "게다가 한번 가본 개인이 새로운 뉴스를 생산하는 시대가 됐으니 과거 상가투자의 공식과 같았던 '접근성' '가시성' 등은 이제 통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상가 투자를 주로 고려하는 연령층이 50대 이상인데, 이들이 바뀐 소비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시장에 들어오는 것을 특히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소장은 "시장 이해도가 없이 이쪽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주택 등 평소 투자해 왔고 잘 아는 분야로 가라고 한다"면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투자는 막아주는 것 또한 우리 역할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과거처럼 '목이 좋은 자리'는 없다"면서 "그보다는 어떤 업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떻게 사람들을 끌어올 매력적인 가게를 만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익형부동산의 대표 격이었던 상가상품 자체가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진입 문턱이 높다는 것도 반드시 투자 전에 고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아파트 등 주거상품에 대한 정보는 금융기관에서도 내고 국토부에서도 명확히 통계를 내는데 상가는 사실 지금도 전수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호수나 층마다 다르고, 각각의 물건 가치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안 돼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박 소장은 "투자자들은 이런 정보들을 쉽게 얻고 싶어하는데 어떤 한 가지 편향된 답으로 시장을 보면 그것 때문에 선택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그래서 규칙성이 없다는 표현을 자주 쓰는데, 딱 정해진 정답에 가까운 무언가를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상가가 특히 베이비부머들에게는 매력적 투자처이자 제2 인생을 설계하는 데 고려할 수 있는 옵션이라고 했다.

"대출을 포함해서 3억원으로 시작해 볼 수 있는데 제대로 된 투자의 경우 임대수익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은퇴 전 월급 수준까진 아니겠지만 꽤 큰 수입원이 되지 않겠느냐"며 "100세 시대가 되면서 은퇴한 50대 입장에서는 끌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익형부동산이라는 개념이 널리 알려지기 전 시장을 경험했던 세대들에게는 임대수익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유일하게 떠오르는 게 '상가'라는 분석도 했다.
결정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는 은행 이자 수익률보다 여전히 3배 이상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우위 상품일 수밖에 없다.

상가정보연구소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지만 상가 시장뿐만 아니라 '수익형 부동산'이라는 큰 틀에서 좋은 투자를 제안하고 돕고 싶다는 그는 셰어하우스, 공유오피스 등 새로운 형태의 시장이 또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소장은 "공유라는 개념에서 새로 창출되는 상품 수요를 이해하고 수익형 부동산의 외연성을 넓히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면서 "최근엔 한 공간에서 3~4개의 업종을 번갈아 운영하는 점포셰어도 생겨나고 있는데 단순히 상가를 사놓고 중개업소에서 연결해 주겠지 생각하기보다는 적극적인 시장개척 마인드가 투자자에게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