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전선익의 재팬톡!]투기 바람에 변질되고 있는 비트코인 철학

전선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2.14 14:02

수정 2017.12.14 14:02

- [재팬톡 외전: 코인톡!] 비트코인 너 뭐니? ②
- 日 가상화폐 ‘결제수단’으로 허용
- ‘탈중앙화’ 철학이 탄생시킨 비트코인
- 거래소 등장으로 저변 넓혔으나 부작용 발생 
- 日 대기업들이 만든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BitFlyer)’
- 日 마운틴곡스 해킹사건 전환점으로 작용

일본의 한 전자상가 앞에 비트코인을 받는 다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 /사진=연합 외신번역화상
일본의 한 전자상가 앞에 비트코인을 받는 다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 /사진=연합 외신번역화상
【도쿄=전선익 특파원】“상품 교환 가치의 척도가 되며 그것의 교환을 매개하는 일반화된 수단이다.”
한국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온 화폐의 정의입니다. 경제학에서 화폐는 중앙 정부의 통제 속에서 안전을 보장 받고 가치척도, 교환수단, 지불수단, 가치 보장수단 등의 기능을 합니다. 중앙집권형(Centralized) 권력을 가진 세계 중앙은행들은 화폐 공급량 조정 등을 통해 각국 경제와 사회의 안정을 유지합니다.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역할보다 사회에서 더 큰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가상화폐라고 부르는 비트코인은 화폐로서 기능을 할 수 있을까요?
적어도 일본에서는 단순한 ‘교환수단’과 ‘지불수단’의 역할은 하는 것 같습니다. 일본 정부가 지난 4월 결제수단으로 가상화폐를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일본 정부는 가상화폐가 일부 ‘화폐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인정하고 이를 공적인 결제수단으로 이용하도록 관련 법규제안을 내각회의에서 의결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도 가상화폐를 단지 ‘결제 수단’으로 인정했을 뿐 ‘법정 화폐’는 아닙니다. 즉 국가가 보증을 서주는 화폐는 아닙니다. 일본 정부는 비트코인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어 정부의 규제아래 두고 야기치 못한 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마음먹은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과 달러화 이미지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비트코인과 달러화 이미지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비트코인은 분권화된(Decentralized) 네트워크형 가상화폐로 정부의 통제 없이 이용자끼리 직접 연결해 거래합니다. 분산 네트워크형 가상화폐라는 말이 쉽게 다가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말하자면 비트코인의 소유권한이 개인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나라의 중앙은행이 발행과 보증을 담당하던 기존 화폐와 달리 모든 것을 개인이 하게 된 것입니다. 발행주체가 없고 개인대개인(Peer 2 Peer, P2P)으로 거래가 가능해 ‘탈중앙화’를 표방합니다. 비트코인을 개발한 사토시 나카모토의 철학이 엿보입니다.

그런데 오늘날의 비트코인은 개발자들의 철학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수많은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가상화폐)의 등장으로 ‘가상화폐 거래소’라는 플레이어가 게임에 끼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거래소의 등장은 비트코인의 룰을 바꿔버렸습니다.

거래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P2P 거래를 꿈꾸던 비트코인은 거래소에서 수수료를 지불해야 거래할 수 있는 유가증권 처럼 변질됐습니다. 은행을 피해 탈중앙화를 외치던 코인이 거래소를 통해 다시 중앙화가 되는 모순이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에 둬 정보의 분권화는 이뤄졌지만 말입니다. 거래소의 등장은 가상화폐의 저변을 넓히는데 일조했지만 반면 가상화폐 시장을 투기장으로 만드는데도 한 몫을 했다고 여겨집니다.

일본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 메인 화면. 일본 대기업들이 주요 주주로 등록돼 있음을 볼 수 있다. /사진=비트플라이어 홈페이지
일본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 메인 화면. 일본 대기업들이 주요 주주로 등록돼 있음을 볼 수 있다. /사진=비트플라이어 홈페이지
일본에서 비트코인을 ‘교환수단’과 ‘지불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트플라이어(BitFlyer) 거래소 계좌를 열어야 합니다. 비트플라이어는 비트코인 거래량 1위인 일본(49.14%, 코인힐스 기준)의 최대 거래소입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비트플라이어가 일본 금융 대기업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입니다.

비트플라이어의 대주주는 일본의 3대 메가 파이낸셜그룹(미츠이 스미토모, 미즈호, 미쓰비시 UFJ)과 리크루트 제일 생명, 미츠이 스미토모 해상, SBI의 VC 등입니다. 일본 금융계의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이 주주로 있으니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연 이것이 탈중앙화를 표방한 비트코인이 가야하는 길인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비트코인 74만4000개를 도난당한 마운트곡스 해킹사건이 있었던 일본에서는 어찌 보면 정부와 대기업의 참여가 더 필요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습니다.

코인 개발자들과 채굴자들은 지금 상황을 우려합니다. 가격 상승은 기대하고 있었던 일이지만 지금 흘러가는 모습은 투자를 넘어 투기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비트코인을 개발하며 그렸던 모습이 지금과 같은 모습일지 궁금해집니다.

sijeon@fnnews.com 전선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