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채권-장전] 금통위, 확률 낮은 소수의견과 확률 높은 성장률 전망 상향

장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18 07:44

수정 2018.01.18 07:44

채권시장이 18일 새해 첫 금리결정회의 결과에 따라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우선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6년 5개월만에 금리인상이 단행된 뒤 경기와 물가 상황 등을 더 살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당장 금리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 대신 이주열 총재가 코멘트를 통해 추가 금리인상 시점에 대해 시그널을 줄지 여부 등이 관심이다.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우선 상당히 높은 확률로 1분기엔 기준금리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해 한은이 중립적인 스탠스를 취하지 않겠느냐는 관점도 적지 않다.

일각에선 소수의견 가능성을 제기한다. 인상 소수의견이 나오면 금리인상이 곧 이뤄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강화시키면서 채권시장을 긴장시킬 수 있다. 다만 11월 금리인상 당시 인상에 반대하는 조동철 위원의 의견이 있었던 데다 경기상황을 더 관찰할 필요성 등을 감안할 때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한은의 경제전망 역시 눈여겨 봐야 한다. 정부관계자들이 지난 해 성장률이 3.2%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얘기를 한 가운데 예상을 웃돌았던 작년 4분기 성장세 등을 감안할 때 올해 성장률 전망도 한은의 10월 전망을 웃돌 가능성이 있다. 시장에선 성장률 전망이 3.0%, 혹은 3.1%까지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최근의 유가 고공행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0월 전망 당시 한은이 54달러 원유도입단가를 근거로 전망을 실시했다. 따라서 최근 속등한 유가를 감안할 때 한은이 이를 상향조정할 여지가 있다. 아울러 최저임금 16.4% 인상 등도 물가 상승요인이다.

하지만 최근 원화 강세가 지속된 점은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이다. 최근 발표된 12월 수입물가는 전년비 1.0% 하락해 14개월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유가 상승,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지만, 한단계 낮아진 달러/원 환율 등은 물가를 누그러뜨리는 요인이다.

시장에선 성장률과 물가 전망 상향이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 금리 반등 압력이 될 수 있다는 경계감도 보인다.

결국 한은의 전망 수정치가 작년 10월 전망(성장률 2.9%, 소비자물가 1.8%, 코어물가 1.9%)에서 얼마나 벗어날지, 이주열 총재가 어떤 강도의 코멘트를 할지 등이 관건이다. 최근 금리 레벨이 올라왔기 때문에 이번 이벤트가 불확실성 해소 기제가 된다면 강세를 노려볼 수도 있다.

하지만 대외 상황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하다. 최근 일본은행이 오퍼레이션 과정에서 장기채 매입을 평소 수준보다 소폭 줄였음에도 글로벌 금리가 크게 반응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시장이 주요국 통화당국의 정책변화에 적지 않게 신경을 쓰고 있다.

미국채 시장에선 금리가 다시 반등했다. 특히 금리는 베이지북 공개 이후 상승폭을 확대했다.

코스콤 체크(3931)를 보면 미국채10년물 수익률은 4.88bp 상승한 2.5862%, 국채30년물은 2.80bp 오른 2.8556%를 기록했다. 국채2년물은 2.49bp 오른 2.0395%를 나타냈다.

연준의 베이지북은 "지난해 말 미국 경제가 '미약 내지 온건한 속도'로 확장했고 물가 압력도 비슷한 속도로 강해졌다"고 평가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가 2%선을 넘어서고 전체 금리가 대체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3월 금리인상에 대한 믿음을 더욱 강해졌다. 베이지북 평가에 대해 미국채 시장에선 "2.5% 성장, 그리고 연준의 세 차례 금리인상전망에 대해 힘을 실어주는 내용"이라고 평가 등이 나왔다.

대외 상황이 비호적이다보니 국내 시장 플레이어들 사이에선 결국 국내 재료보다는 주요국 정책 변화 추이와 미국채 금리가 관건 아니냐는 인식도 강하다.

한편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대해서도 한은 총재는 답변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암호화폐 낙관론자들은 궁극적으로 암호화페가 현재의 법정화폐에 대해 경쟁자 역할을 할 수 있다거나 기존 화폐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물론 이는 먼 미래의 얘기로 보인다.


당장 암호화폐 규제 강도가 관심이지만 유동성을 관리하고 경기와 물가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하는 통화당국 입장에선 암호화폐에 대해 어떤 입장이든 제시해야 하는 분위기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