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자치단체장에 듣는다] 촛불혁명 다음은 생활혁명

김아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1.23 17:06

수정 2018.01.23 17:06

[자치단체장에 듣는다] 촛불혁명 다음은 생활혁명

지난해 말 촛불을 든 광장의 위대한 시민이 정권을 교체하고 역사의 새 페이지를 열면서 대한민국이 거대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 문재인정부 출범 첫 해인 2017년은 큰 틀에서의 사회구조적 혁신에 박차를 가하며 전열을 가다듬고 정비하는 한 해였다. 2018년 무술년 새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손을 맞잡고 협치해 시민들에게 그 변화의 성과를 돌려드릴 원년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내 삶이 나아지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팍팍하고 절박한 삶을 바꾸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촛불혁명, 그 다음은 생활혁명이어야 한다.


서울시장 취임 당시 '내 삶을 바꾸는 시장'을 선언하고 도시 운영 패러다임을 전환해 시민 삶을 바꾸는 소리 없는 혁신을 이미 시작했다. 6년이란 행정의 연속성 속에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 모멘텀을 마련했다. '개발과 성장'에 있었던 도시의 중심축은 '사람'으로 이동했으며 '한방주의 도시'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더 멀지만 100년을 준비하는 방향으로 꾸준하게 체질을 전환했다. 20조원에 육박했던 빚을 8조6000억원 이상 줄여 그 여력을 사람에, 미래에 투자했다. 4조원대였던 복지예산은 10조원 시대를 열고 있고, 보육정책 1순위로 꼽히는 국공립어린이집은 올해 1500개소를 돌파한다. 신혼부부, 청년, 1인가구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도 13만호가 공급됐다. 1980년대 이후 공급량의 45% 이상이 지난 6년간 집중됐다. '도시재생'과 '걷는 도시'는 시대의 패러다임을 바꿔낸 대표적 분야다. 자동차에 내줬던 도시의 주인 자리를 보행자 시민에게 돌려줬으며, 전면 철거해 지우고 새로 쓰는 데 급급했던 서울은 고쳐 쓰고 다시 쓰는 도시로 방향을 전환했다. 전국 최초로 시도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근로자이사제 등은 노동의 존엄한 가치를 회복 중이다. 미래투자도 한두 개의 하드웨어 사업이 아닌 시민의 힘, 사람의 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경쟁력을 만드는 데 향하고 있다. 바이오, 연구개발(R&D), MICE, 도심제조, 문화콘텐츠 산업 등 5대 유망산업을 중심으로 거점이 펼쳐지는 도시, 청년과 스타트업들이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의 미래가 멀지 않았다.

모든 혁신의 원동력은 '시민'이다. 서울로7017을 비롯한 '걷는 도시' 사업은 교통체증 우려를 표하는 의견도 많았지만 안착하고 있고, 시민 366만명 참여로 서울은 원전 2기 분의 에너지 생산, 절감을 이뤄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는 대표적인 생활혁명 정책의 하나로, 서울시는 시민 3000명이 광장에 모여 집단지성의 힘을 모았다.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는 미세먼지가 전 사회가 동참해야 할 모두의 문제라는 인식과 실천을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중교통 무료 비용도 시민들의 생각을 바꾸는 투자라 할 수 있다.

이제 서울의 혁신은 대한민국 혁신의 표준이 되고 있다. 서울시가 정부에 건의한 과제의 59%가 대통령의 공약과 일치한다. 서울에 주어진 사명이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 검증되고 효과가 입증된 '서울형 혁신정책'을 바탕으로 촛불혁명의 정신을 생활혁명으로 진화시켜 나가는 데 서울시가 앞장서 '중앙-지방 협치시대'를 열어나갈 것이다.
문재인정부와 서울시는 한팀이다. 서울의 성공이 정부의 성공이다.
서울시는 새 정부와 함께 생활혁명시대를 열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 나가는 데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다.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