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전선익의 재팬톡!] '100세 시대' 일본의 변화

전선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01 16:47

수정 2018.03.01 21:10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 도쿄=전선익 특파원】 일본 도쿄 신주쿠역에 위치한 선술집 '텐구'는 오전 11시30분에 문을 연다. 선술집을 찾기에는 이른 시간인데도 가게는 늘 절반 이상이 차 있다. 자리를 메운 사람들은 정갈하게 차려입은 할아버지 할머니들. 삼삼오오 테이블에 앉아 맥주 한잔에 이야기꽃을 피운다. 일본에서는 이런 장면이 낯선 장면이 아니다.

일본은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일본 인구(약 1억2558만명) 중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27.3%에 달한다.
일본 학계에서는 2050년이면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현재 65세인 '고령자' 기준 연령을 연내 수정할 계획이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고령사회 대책 대강령(大綱領)'에 "65세 이상을 일률적으로 고령자로 보는 일반적인 경향은 비현실적이다"고 명기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고령사회 대책에는 △연금 수급 개시 시점을 통상 65세에서 70세 이후로 조정 △고령자의 재취업과 기업 활동 후원 △고령 운전자 대책 강화 △인지능력이 저하된 고령 투자자 보호 등도 담길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아울러 60세인 중앙.지방 공무원의 정년을 2033년까지 65세로 늦추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일본은 이제 100세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초고령화 사회 일본은 노후 자금 부족에 대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정부는 70세 이상에서 공적 연금을 수급할 수 있는 구조를 검토 중이고 금융기관들은 연금 보험 및 뮤추얼 펀드를 개발해 출시하고 있다.

일본의 금융홍보중앙위원회에 의하면 60대의 금융 자산은 평균 2202만엔으로 이 중 58%가 예금이라고 한다. 저금리 시대에 예금으로 노후 생활비를 충당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금융기관들이 노후 자금 상품을 출시하는 이유다.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미쓰이스미토모 은행은 일본 은행 중 최초로 '장수연금'이라고 불리는 종신 연금 보험을 출시했다. 미쓰이스미토모 해상과 공동 개발로 미국 달러와 호주 달러로 운용되는 외화상품이다. 엔화보다 높은 적립 이율이 예상되는 종신 연금보험으로 이용객이 빨리 사망하면 손해이고 장수(83세 이상)하면 납입한 보험료보다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상품이 달러화로 운용되기 때문에 엔화가 강세일 때 엔화로 전환하면 수령액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일본에서는 생명보험사들이 이 같은 상품을 지난 2016년부터 출시해 지난해 기준 계약건수가 약 5만 건에 이르렀다. 노무라증권도 장수 투신을 개발했다. 일본의 100세 시대는 시장의 변화도 가져오고 있다. 고령화에 맞춰 3분 요리인 레토르트 식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레토르트 카레 시장(약 461억엔)이 루(고체 형식의 요리가 필요한 카레, 약 456억엔) 시장을 처음 앞질렀다. 시장 조사 회사인 인테지(インテ?ジ)에 따르면 레토르트 카레의 구입액은 15년간 약 20% 확대됐다.
확대를 이끈 것은 고령화와 1인가구 증가이다.

한국도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향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사례를 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춰 미리 준비해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할 때가 됐다.sijeon@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