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패싱 우려 불식'…문 대통령, 중·일·러와 외교 스킨십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2 20:00

수정 2018.03.12 20:00

【베이징·서울=조창원 특파원 조은효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급물살을 타는 한반도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도출하기 위해 중국과 러시아 일본에 대한 적극적 외교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한반도 주변 강국들과 한반도 문제를 북미 간 '중재'를 직접 맡았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중국·일본·러시아로 향해 한반도 평화 안착을 위한 소통 외교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핵심 당사국인 남북미가 비핵화와 평화체제의 큰 틀을 도출하더라도 이들 주변 강대국들의 적극적 협조와 지지가 없다면 최종 문제 해결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중국·일본·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강국에 대한 소통 외교 강화는 최근 급변하는 남북미 정상외교 과정 속에서 이들 국가들의 '패싱'(Passing·건너뛰기) 우려를 불식시키겠다는 의도가 깊게 깔렸다.

남북미 정상회담 속도가 빨리지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앞으로 두달 사이에 남북 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면서 중대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속도전으로 대화여건 조성에 소매를 걷어부친 상황에서 주변 강국에 대한 최근 설명과 협조 역시 절실해진 것이다.


특히 이들 3강 가운데 가장 우선적이고 밀접한 협력 대상으로 중국이 꼽힌다. 한반도 정세가 요동을 치는 동안 대북 압박을 위한 중국의 역할론이 강조돼왔던 데다 한반도 평화안정을 도모하는 과정에서도 중국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에서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 정상회담이 속도를 내면서 중국의 소외론이 부상하고 있다. 남북관계가 순풍을 타기 시작한 상황에서 중국의 소외론은 자칫 향후 남북관계 개선 과정에 소음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6자회담 의장국을 맡았던 중국은 그동안 한반도 상황에 대한 '중재자'로서의 지위를 누려왔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북한과의 관계가 순조롭지 못하게 흐르면서 대북 지렛대 역할과 고유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한계를 드러냈다.

이날 정의용 실장이 미국에서 귀국한 뒤 곧바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면담을 가진 것도 이같은 맥락에 따른 것이다. 정 실장은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김정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결과를 비롯해 남북·북미 정상회담 추진 상황 및 문 대통령이 구상해온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구축 로드맵'을 설명하고 이해와 지지를 구했다.

시 주석 면담에 앞서 정 실장은 양제츠 국무위원과 만나 "우리 문재인 대통령와 우리 정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 목표달성에 있어서 여러가지 진전이 이뤄지고 있는 것은 시진핑 주석님 또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기여와 역할에 힘입었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최근 한반도 평화 기류가 형성된 배경에 중국 역할론이 컸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국도 최근 급진전되고 있는 한반도 정세에 대해 공감을 표시하며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양제츠 국무위원은 이날 정 실장과 만난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는 한반도의 비핵화 목표의 실현을 견지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유지를 견지하며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견지하고 있다"면서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해 일관된 중국 정부의 입장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아울러 양 국무위원이 최근 한반도 정세의 적극적인 변화가 한반도의 비핵화 문제를 대화국면으로 전환시키고 유엔안보리 결의안과도 부합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최근의 흐름에 대해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양 국무위원은 특히 "양측간의 정치의사소통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고 각 분야의 교류와 협력도 착실하게 추진되고 있다"면서 한반도 외교지형 변화에 대한 한중간 관계를 중시한다는 입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갈등으로 침체됐던 양국간 관계도 개선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jjack3@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