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피플일반

[기자수첩] '펜스룰' 2차피해가 되지 않기를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15 17:33

수정 2018.03.15 17:33

[기자수첩] '펜스룰' 2차피해가 되지 않기를


'미투(me too) 운동'의 확산이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사회적 비용 이야기를 하자는 것이 아니다. 미투운동 덕분에 그동안 미뤘던 사회적 비용을 한꺼번에 내다보니 비용이 커 보이는 것뿐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펜스룰'이라는 단어가 회자되고 있다. 미투운동을 경제와 연결시켜 생각해 봐야 하는 이유는 '펜스룰'의 의미 때문이다. '펜스룰'이란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지난 2002년 일간 '더힐'에 밝힌 행동방식이다. 아내가 아닌 다른 여성과는 단 둘이 식사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펜스룰을 경제 중 일자리 문제와 연결해보면 성희롱, 성추행, 성폭력을 막아보겠다고 회사가 여성 채용에 소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을 의미한다. 어렵게 여성이 일자리를 구하더라도 주요 업무나 인맥 확장의 기회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안 그래도 두꺼운 '유리천장'을 더욱 두껍게 만드는 역할을 펜스룰이 할 수 있는 것이다.

미투운동의 반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펜스룰은 우리만의 걱정거리는 아니다. 전 세계 공통으로 나타난다. 다만 한국에서 특히나 펜스룰에 대한 우려가 큰 데는 이유가 있다. 우리 일자리 현실이 남성 중심적 구조여서다.

지난해 전체 여성 임금근로자 중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1년 미만인 임시직과 1개월 미만인 일용직 여성근로자 수는 총 356만8000명으로, 전체의 40.7%를 차지했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임시직과 일용직 비중은 전체의 26.3%에 불과했다. 정부 차원에서 여성고용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지만 여전히 여성이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는데도 출산을 이유로 해고통지를 받는 여성의 사례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또 여성이라는 이유로 고용이나 임금에서 차별을 받는 것이 현실이다.

15일 서울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투 공감.소통을 위한 제2차 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은 "최근 미투운동의 반작용으로 직장에서 여성을 업무 등에서 배제하는 펜스룰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며 "이런 현상이 확산되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협의해 다양한 캠페인이나 성평등 교육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발언했다. 여가부 장관의 발언처럼 정부 차원에서 펜스룰 확산을 막기 위한 움직임에 나서야 할 것이다.
펜스룰 현상을 방치하는 것은 사회가 여성에게 2차 피해를 주는 것을 방치하는 것과 같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경제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