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긴급진단 한반도 지진] 지진대응 매뉴얼은 "지역별 지질파악부터"

최수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20 12:18

수정 2018.03.20 13:25

“지역마다 땅속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지진대응매뉴얼은 해당지역 지질 파악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박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 센터장은 이날 포럼에서 경주와 포항 지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단층의 이동방향과 진앙의 깊이 등 지진현상의 차이는 경주와 포항지역의 지질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박 센터장은 “경주의 경우 암반 위주의 지질인 반면 포항의 경우 진앙지 부근이 토사 위주였다”며 “영일만 등 해안 쪽으로 갈수록 퇴적층 위주의 지질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포항에서 본진 발생 후 3개월 뒤 규모 4.6의 여진이 뒤늦게 발생한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토사질의 경우 응력이 빠르게 반영되지만 암반지역에서는 지진파가 다르게 반영된다는 설명이다.

특히 건축물에 주는 충격도 달라 포항의 경우 2~5층의 저층의 주택이 많이 파괴된 것 역시 토사 위주의 지질 때문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질학적인 현실을 고려한 현실 대응 방안이 수립돼야하며 재난 발생 시 중앙정부가 아닌 자치단체장이 책임지고 현장을 지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센터장은 “나까가와 마사하루 일본 중의원이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의 경우 지진 등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지역 현실을 반영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계획과 훈련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설명한 이유 또한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박 센터장은 기상청이 현재 시행 중인 경보체계는 외부지향경보(Out-ward warning)방식으로, 대국민 신속 통보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앞으로는 내부지향경보(In-ward warning) 방식이 포함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지진조기경보체계(HB-EEW)를 구축해야 한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박 센터장은 또 민간참여를 확대하는 등 현재 우리나라의 지진정보의 전달 체계와 지진관측법은 개선과 개정이 필요하고 주장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