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기자수첩

[기자수첩] 개성공단의 대안은 없다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4.23 17:36

수정 2018.04.23 17:36

[기자수첩] 개성공단의 대안은 없다

촛불집회가 있었던 지난해 광화문광장에서 의류 판매 노점이 열렸다. 노점상 주인은 CNGN이라는 업체의 이용호 사장과 직원들이었다. 작지만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이 노점을 연 사연이 궁금해 인터뷰를 했었다.

CNGN은 개성공단에서 제작한 옷을 받아 국내에 유통하던 소기업이었다. 그러던 지난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로 약 5억원 규모의 의류 재고를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재고 소진을 위한 길을 백방으로 찾았지만 방법이 없었다고 한다.
혹시나 개성공단 제품이라고 하면 시민들이 구매해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촛불집회에 나왔다고 이야기했다.

CNGN과 같은 개성공단 관련 업체들은 공단이 폐쇄된 이후 고통의 시간을 보냈다. 누구는 빚쟁이가 됐고, 누구는 대리운전을 하며 겨우 생계를 이어갔다고 한다.

오는 27일 남북 정상회담이 있을 예정이다. 그리고 개성공단 연내 재개 등 남북경협 활성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개성공단이 폐쇄되기 직전인 지난 2015년 남북교역액을 보면 사상 최대인 27억1400만달러 수준이었다. 개성공단 가동만 재개돼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최소 3조원 수준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다는 의미다. 장기적으로는 개성공단 확대와 더불어 새로운 대규모 경제협력지구가 만들어질 경우 우리 경제 파급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다시 개성공단이 열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정치다. 개성공단 등 남북경협에 순수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가 개입되고 휘둘린다면 또다시 공단이 폐쇄되고 관련 업체들에 피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적 이득이 가장 중요한 기업인들은 인건비나 물류비, 언어, 인구, 자원 등 북한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용호 CNGN 사장은 "개성공단의 대안은 없다고 봐야 한다.
이론적으로야 대체공장을 만들면 된다지만 개성공단과 비교하면 규모나 기술, 인건비 등에서 마땅한 곳이 없다"며 "개성공단은 한국산(made in korea)이라고 붙일 수 있어 중국산이나 베트남산 등에 비해 높게 평가받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가 개입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판단한다면 북한이 제2의 중국, 제2의 베트남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정치가 개입할 경우 그 가능성이 사라지게 된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경제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