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기업구조혁신펀드 아직 출범도 못했다

강구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5.03 17:06

수정 2018.05.04 16:01

1조원 규모 펀드 관련 3월말까지 조성 계획했지만
산은·수출입은행·하나은행, 아직까지 출자 승인 미뤄..  하반기에나 결성 가능할듯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 1조원 규모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상반기에 조성한다는 계획에 적신호가 켜졌다.

당초 3월 말까지 기관들의 출자 승인을 받기로 했지만, 5월 초 현재 미승인 기관이 3곳이나 된다. GP(운용사) 공고 이후 선정까지 한 달 정도는 필요한 것을 고려하면 빨라도 펀드 결성이 하반기는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기업구조혁신펀드 조성을 위해 기관들의 출자 확약을 받고 있지만, 5월 초 현재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KEB하나은행이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

당초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산업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7개 은행으로부터 각각 350억원, 수출입은행으로부터 50억원을 출자 확약 받아 2500억원의 펀드 출자자금을 마련하고,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캠코로부터 2500억원을 출자 확약받아 5000억원의 자금을 마련키로 했다. 나머지 5000억원을 선정된 GP를 통해 민간에서 유치받아 1조원을 마련하는 구조다.


산업은행은 GM, STX조선 사태 등으로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대출자자인 앵커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으로 출자 승인할 것으로 전해졌다.

수출입은행은 내부 프로세스 문제를 거론하고 있지만, 이사회에도 아직 올리지 않은 상태로 확인됐다. 구조혁신펀드에 출자해도 수출입은행의 여신 중 대상기업이 적어 실익이 적다는 판단도 지연의 이유로 알려졌다. 게다가 출자 관련 기획재정부의 승인도 받아야 하는 만큼 펀드 조성을 지연케 하는 주된 문제로 꼽힌다.

KEB하나은행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출자 승인을 미루고 있다. 내부 절차상 다른 출자기관의 행보를 보며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결권이 경영협의회에 있는 만큼 최종 투자계획서를 받은 후 승인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4월 초 수출입은행의 내부규정 변경으로 투자계약서가 변경된 것도 이런 판단에 한몫했다. 다만 타행의 경우 경영협의회보다 상위 개념인 이사회에서 출자에 대한 승인이 이뤄졌다.

특히 KEB하나은행은 최근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의거한 채권은행의 공동 워크아웃 관련 철강 등 업체에서 반대매수청구권을 행사해 채권단에서 빠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타행과 KEB하나은행간 의사결정의 차이가 있다”며 “법률검토 등 출자 승인을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고 말했다.

반면 펀드의 딜소싱(거래공급), 민간자본 유치, 운용 등을 책임지는 GP(운용사) 경쟁은 치열하다. 공동 GP 연합군에는 NH PE-오퍼스PE, 우리 PE-큐캐피탈파트너스가 이름을 올렸다.
또 각 각 GP 후보들은 모펀드 출자기관으로부터 조건부 출자확약서를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정부와 민간에서 자금을 받은 자 펀드 운용사가 채권 금융기관이 보유한 부실기업 채권 .주식 등을 사들인 후 이익을 남기기 위해 사업 재편 .비용 감축 등 기업 정상화를 추진한다.


모 펀드는 한국성장금융이 운용하고 자펀드는 민간 사모펀드(PEF)가 운용해 중견 이하 부실 징후 기업에 투자하는 구조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