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국경제 ‘경고등’]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 감소 제조업 61% "정규직이 타격"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25 17:07

수정 2018.06.25 21:47

한은 지역경제 보고서
[한국경제 ‘경고등’]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 감소 제조업 61%


4차 산업혁명이 제조업체의 고용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고용 감소가 정규직을 중심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으로 이뤄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한국은행이 25일 발간한 '지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72개 제조업체 가운데 59.0%가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중 4차 산업혁명이 고용을 증가시킬 것이란 응답 비중은 15.4%에 불과했다. 나머지 25.6%는 고용 변화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정규직 고용 위축 우려

고용 감소를 예상한 업체 중에서는 61.8%가 정규직·풀타임에서 줄어들 것으로, 38.2%는 계약직·임시직·일용직에서 고용이 줄어들 것으로 봤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정제, 자동차, 철강, 조선 등에서는 고용 감소를 예상하는 응답 비중이 높았고 정보기술(IT)산업에서는 '고용 증가'를 예상한 응답 비중이 더 높았다. 기존 산업은 자동화로 고용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반면 IT산업은 규모가 커지면서 고용도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고용뿐만 아니라 기업 운영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업들은 봤다. 4차 산업혁명이 각 업체에 미칠 영향은 57.9%가 '중요하다'고 봤다. '중요하지 않다'는 28.4%, '잘 모르겠다'는 13.7% 순이었다. 이해도가 높을수록 4차 산업혁명이 업체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의 69.7%, 들어보았다고 응답한 업체의 38.0%가 4차 산업혁명 영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들은 긍정적 영향으로 '생산성 향상'이 26.1%, '생산비용 절감'이 23.3% 등을 들었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신규투자 관련 비용 증가' 39.0%,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 20.2% 등을 꼽았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에서는 전체의 18.6%가 '대응하지 않고 있음'이라고 응답했다. '대응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답변 비중이 43.6%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이어 '본사 또는 일부 사업장만 부분적으로 대응'이 25.6%, '전사적 대응계획 수립 후 실행 전 단계'는 12.2%였다. 상당수 기업이 중요성은 인식하면서도 대응에는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

■부족한 기술역량 걸림돌

조사대상 업체들의 29.9%는 4차 산업혁명 대응에서 '기술역량 부족'을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이어 '핵심인력 확보 애로' 21.3%, '국내 인프라 부족' 17.5%, '투자자금 부족' 16.0%, '정부의 지원정책 미흡' 순이었다.

중요성 인식 업체 중 이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거나 대응계획을 수립한 업체 비중은 자동차(52.6%), 석유화학·정제(50.0%), IT(42.3%)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철강(12.5%), 조선(33.3%), 기계장비(31.3%)에선 그 비중이 절반을 넘지 못해 대응이 뒤처졌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업체들은 대응과제로 '생산공정 혁신'(26.2%), 'IT 등 관련 인프라 투자'(22.8%), '내부직원 기술교육'(14.6%) 등을 주로 제시했다.


한은은 "업체들은 정부의 관련 인프라 확충, 투자 관련 보조금 지급, 세제 혜택, 교육훈련비 지원, 투자 관련 규제완화 등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