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차-업계·정책

[비상 걸린 자동차업계] 관세폭탄 밀어붙이는 美 … 한국 車수출 연 15兆 손실 '휘청'

오승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7.15 17:00

수정 2018.07.15 17:00

트럼프 25% 관세 예고
韓, 작년 수출한 자동차 3대 중 1대가 미국에.. 車부품·연관산업까지 타격
업계, TF 꾸려 대응 총력전
[비상 걸린 자동차업계] 관세폭탄 밀어붙이는 美 … 한국 車수출 연 15兆 손실 '휘청'

자동차업계가 미국의 관세폭탄 유탄을 고스란히 맞게될 위기에 직면해 초비상이 걸렸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뿐 아니라 수입차 전체에 25% 고율 관세 부과를 밀어붙여 국내 관련업체들은 사실상 '패닉'에 빠진 상태다.

원가경쟁력 붕괴로 당장 올해 대미 수출물량이 급격히 감소할 게 불보듯 뻔해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지난해 완성차업체들이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한 전체 물량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0%를 웃돈다. 우려가 현실화되면 완성차업체뿐 아니라 부품 및 연관산업까지 도미노 타격이 불가피하다.

■車, 대미수출 연간 15조 휘청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완성차 5개사가 국내 생산기지를 통해 미국에 수출한 물량은 총 84만8068대이다.
한국에서 수출된 전체 264만4488대의 32%로 3대중 1대꼴이다.

미국 수출물량을 금액으로 추산하면 약 25조~30조원이다. 하지만, 미국이 관세를 25%나 매기면 채산성 악화, 가격경쟁력 하락에 따른 현지 판매감소 등으로 수출물량은 반토막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자동차 수출 금액이 연간 최대 15조원가량 급감할 수 있는 셈이다.

이는 지난달 최남석 전북대학교 무역학과 교수가 '통상압력과 국내 자동차산업의 위기'를 주제로 발표한 연구논문과도 맥을 같이한다. 최교수는 미국이 고율관세 부과시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수출손실액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최대 661억7700만달러(74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 평균 15조원선이다.

완성차 업체별 미국 수출규모는 현대차가 30만7018대로 가장 많고, 기아차는 28만7401대로 뒤를 잇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대미 수출비중은 29.1%에 이른다.

대미 수출비중은 르노삼성이 69.8%로 가장 높다. 지난해 수출 총 17만6271대 가운데 12만3202대가 미국 수출길에 올랐다. 주력 수출 모델 '닛산 로그'를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망을 통해 대부분 미국에 공급하고 있어서다. 서유럽, 중동 등에 수출이 집중된 쌍용차는 미국 판매물량이 전무해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

자동차 부품업체들도 초긴장 모드다. 완성차 수출이 줄어드는 만큼 부품공급도 감소하는 것도 문제지만, 국내서 생산해 미국 현지공장에 수출되는 반조립 부품과 현지 AS부품 등도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업계 비상체제 가동, 정부와 총력전

완성차 업체들은 미국 관세폭탄 조기 진화를 위해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정부와 구성한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팀과 별도로 자체 대응팀을 꾸려 가동중이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해외사업 전략통 등 관록있는 실무진 10여명으로 대응팀을 조직했다. 미국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팀원을 조정해 대응능력을 높이고 있다.

한국GM과 르노삼성도 대책반을 통해 자동차산업 영향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오는 19일(현지시간)부터 20일까지 미국 상무부에서 개최되는 무역확장법 232조 자동차 조사 공청회에는 완성차업체 현지 법인 직원들이 대거 참가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사절단 파견 등 정부와도 공동대응 강화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고율관세는 양국 자동차산업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며 "관계 부처와 간담회, 실무협의 등을 통해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GM 등 자동차 빅3와 미국 의회 등 정·재계 반발 확산으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막판에 신중한 판단을 내리지 않겠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보복관세로 승자없는 치킨게임을 장기전으로 끌고가기에는 양국 정부 모두 부담이 적지않다는 분석이다.

한편, 지난 5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무부에 고율관세 부과의 근거가 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수입차에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공청회 등을 거쳐 수입차 및 자동차부품이 미국 자동차산업을 위협한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 이르면 오는 9월부터 최고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에 비해 중국은 지난 1일부터 수입차와 부품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췄다.
지난 6일 미국산 수입차와 부품에만 25%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