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협치내각 논의 연일 야권에서 확산...하반기 협치 정국 독될까 우려도

심형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7.26 16:26

수정 2018.07.26 16:26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청와대의 협치내각 구상 제안 이후 야권에선 불씨가 좀처럼 잦아 들지 않고 있다.

26일에도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에선 오히려 요구와 조건이 늘고 백가쟁명식의 반응이 쏟아지면서 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협치 내각)그 자체를 거절할 것은 아니고 정식으로 제안이 오면 정확하게 그 내용을 들어보고 당내 논의 과정을 거쳐서 결론 내겠다"면서도 전제조건으로 공동정책의 문서화도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협치에 관한 정책을 문서로 만들고 공동의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들을 문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이 조건으로 내건 내용은 공동정책에 대한 문서화뿐만이 아니다.

최저임금이나 탈원전 정책 같은 경우는 속도조절, 개헌과 선거제도 관련되어서도 청와대의 답변을 요구 중이다.


특히 선거제도나 개헌에 대해선 연내 처리를 위한 논의 재개 문제도 포함하고 있다.

민주평화당은 "제안이 오면 신중검토"→"수용 불가" 등 연일 입장이 뒤바뀌고 내부 의견도 갈수록 엇갈리고 있다.

당내 중진인 황주홍 의원은 이날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진정성 있게 '협치 내각'을 할 거라면 내용은 과감하고 조건은 투명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평화당에만 제안이 오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며 보수 야당까지 다수가 포함되는 협치 구조를 역으로 제안했다.

반면 천정배 의원은 "문재인정부가 자유한국당에까지 장관직을 주겠다면서 이른바 '협치내각'이란 것을 꺼냈지만 정확히 말하면 이는 한국당과의 대연정 시도"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야권에선 공통적으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온 소득주도성장론 폐기나 전면 수정을 협치의 전제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어 청와대나 여당이 이같은 조건을 받아들이기는 결코 쉽지 않아 보인다.

협치 내각 구상의 공은 일단 여당인 민주당으로 넘어온 상태다.

내각 인사의 결정권자는 문재인 대통령이지만 청와대 주도 보다는 여당이 야당 설득에 나서는 모양새로 가겠다는 판단도 깔려있다.

민주당은 일단 구체적인 물밑접촉에 나서는 등 9월 정기국회 이전인 다음 달 중순까지는 협치내각의 매듭을 짓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하반기 국회부터는 야당의 협조를 얻어 개혁입법 처리 등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산에서다.

다만 야당이 저마다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앞길은 순탄치 않아 보인다.


당초엔 범여성향 정당을 중심으로 개혁입법연대가 가동될 수 있는 구조였다면 자칫 각당의 입장이 엇갈리면서 하반기 정국이 더욱 냉각되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cerju@fnnews.com 심형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