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통일

폼페이오 방북 가시화… 평양 정상회담 준비 속도낼 듯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8.14 17:16

수정 2018.08.14 21:13

北, 핵시설 리스트 공개 등 美 요구 일부 수용 가능성
북미 꼬인 매듭 먼저 풀리면 남북회담, 비핵화 돌파 역할 
종전선언엔 기대감 엇갈려 
3차 남북 정상회담이 9월 중순 평양에서 개최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달여 남은 회담 준비도 조만간 가시화될 전망이다.

북미 후속조치가 지연되면서 남북 정상회담 날짜를 특정하지 못했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달 방북하기로 하면서 정상회담 준비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상회담 준비 빠르게 진행

1차 남북 정상회담 때는 우리측 대북특별사절단이 평양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나 회담을 개최하기로 한지 열흘만에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가 구성됐다.

9월 중순께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3차 남북 정상회담까지 한달여 밖에 남지 않아 준비도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1차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했던 것과 같은 정상회담 추진위원회는 조만간 가동될 전망이다. 정상회담 자문단들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대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또 남북간 경호·의전·보도 등 구체적인 준비를 위한 실무회담을 조만간 개시할 전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4일 기자들과 만나 "3차 남북정상회담은 9월안에 개최하기로 합의돼 정상회담 준비 착수로 봐주면 좋겠다"라며 "남북간 후속 협의를 해서 날짜 잡고 구체적으로 실무회담 등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8월 중 개성에 개소하기로 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도 정상회담 등 남북관계의 다양한 논의가 진행될 전망이다.

■靑, 북미 관계 청신호 주목

청와대는 3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북미관계 변화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북미간 비핵화 협상의 진척에 따라 남북정상회담 주요 의제도 달라질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전날 남북이 평양 정상회담 개최를 발표하면서 날짜를 특정하지 못한 것 역시 북미 관계에서 발생한 변수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의)9·9절 참석을 요청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남북정상회담 날짜를 확정하지 못한 배경에 대해 '북한이 우리 측에 9월9일 정권수립 기념식 관련 요청을 해 정상회담이 늦춰졌다'는 분석이 나오자 잡음 차단에 나선 것이다.

결국 정상회담 날짜를 확정하지 못한 것은 북미 관계 변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달 내로 평양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같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김정은 위원장에 보낸 친서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바 있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도 이르면 내주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을 방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평양 방문으로 비핵화 등 성과가 도출되면, 남북정상회담 의제 역시 방향이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청와대는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과 주요 의제를 폼페이오 장관 방북 결과를 지켜본 뒤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 사이에서 꼬인 매듭을 먼저 풀어주면, 남북정상회담이 기폭제가 돼 한반도 비핵화를 끌고가는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다.

■정상회담, 종전선언 이끌까

9월 중순에 개최하기로 한 남북 정상회담 날짜가 언제로 확정될지에도 관심이 높다. 북한 9·9절 연휴가 끝나는 12일부터 유엔총회 개막 전인 17일 사이가 유력해 보인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남북 정상회담이 현실적으로 9월초에 열리는 것은 어렵다고 밝힌바 있다. 이와관련 문 특보는 12일~13일 사이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 정권 수립일인 9·9절 연휴가 끝나고 일하는 날이 12일부터 시작이라는 것이다.

이와관련 러시아가 9월 11~13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문 대통령을 초청한 만큼 이 시기에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부담이란 시각도 있다. 우리측은 이낙연 국무총리 참석을 조율하고 있고, 김정은 위원장도 불참할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이유로 14일부터 유엔총회 개막일인 18일 전에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우리측은 당초 가을 정상회담을 8월말로 당겨 중재자 역할을 하고, 9월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이 이어지길 기대했다.

하지만 북·미간 비핵화와 체제보장 후속조치 지연으로 정상회담도 늦어져 유엔총회 종전선언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선언 물꼬를 트려 했는데, 정상회담이 늦춰져 유엔총회에 임박해서 개최돼 설득하고 준비할 시간적 여유가 별로 없다"고 말했다.

종전선언이 가능한 다자정상회담은 9월 18일 개막하는 유엔총회와 11월 4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가 있다.
미국도 중간선거일인 11월 6일 전에 성과를 내야하는 상황이다.

lkbms@fnnews.com 임광복 이태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