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월드리포트

<차이나톡>중-아프리카 관계 위기 혹은 기회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8.30 13:24

수정 2019.08.25 15:10


【베이징=조창원 특파원】다음 달 3∼4일에는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정상회의는 중국의 검은대륙 공략의 주요 매개체다. 지난 2000년 처음 개최된 후 3년마다 중국과 아프리카를 오가며 개최되고 있다.

올해 '협력과 공영, 함께 손잡고 더 긴밀한 중국-아프리카 운명공동체를 건설하자'라는 주제로 열리는 포럼엔 아프리카 국가 정상 대부분이 참석한다.

이번 포럼은 기존 행사보다 더욱 세간의 관심을 끌 전망이다. 중국의 야심 찬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가 아프리카 곳곳에서 논란을 낳고 있어서다.

아프리카에 막대한 자금을 빌려주고 경제 인프라 건설을 펼쳐왔는데 활용도는 떨어지고 아프리가 국가들의 부채만 늘어나는 꼴이 됐다.
중국에 채무를 잡힌 이들 국가들이 결국 외교 안보 등 전반에서 중국의 간섭 아래 놓이는 상황까지 직면했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신제국주의 행태라는 지적도 내놓는다.

자본력이 떨어져 중국의 자금을 손쉽게 냉큼 받아내고 싶은 욕구를 뿌리치기 힘든 게 아프리카 국가들의 현실이긴 하다. 문제는 자국내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위한 자립경제마저 중국에게 저당잡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이는 중국이 자본을 빌려주고 중국 기업을 통해 사회기반시설(인프라)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중국식 발전모델을 아프리카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돈은 빌려주되 중국 기업이 모든 사업을 진행하고 인력도 중국인을 대거 이동시켜 진행하다보니 아프리카 국가로선 내부적으로 경제적 실익과 노하우가 쌓이는 게 없다.

아프리카 내에서도 이같은 우려와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이 열린다.

외부의 따가운 시선을 의식해서인지 중국이 이번 포럼에서 당근책을 내놓을 심산이다.

중국은 최근 포럼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 아프리카 전역에 90만에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핵심 인프라 건설, 현지인 직업교육, 중국의 산업발전·외자 유치 경험 공유도 약속했다.
아프리가 일부 국가에 대해선 중국에 수출하는 제품의 97%에 대해 관세면제 혜택도 주기로 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과 지속가능한 부채모델을 추구하겠다는 점이다.


내전과 서구의 지배로 고난을 겪어왔던 아프리카 국가들이 또 다른 예속의 굴레에 빠질지 아니면 새로운 부흥의 기회를 잡게 될지 두고 볼 대목이다.

fnSurvey